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광고영상감독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광고영상감독은 광고주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광고 영상물 제작을 총괄하는 일을 한다. 광고 산업은 경기 변동에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가 커지고 기업 간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광고 시장도 성장을 거듭하여 왔다. 그러나 근래에 경기침체 장기화로 방송업계에서 광고 매출이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면서 케이블방송, 인터넷방송, IPTV 등 다매체?다채널화로 방송환경이 재편되고 있는 점은 광고 산업에 긍정적이다. 특히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Over The Top)가 확장되고, 통신 3사가 자체 콘텐츠 제작 스튜디오를 설립하는 등 제작 방송 프로그램 수가 늘어나고, 한류 인기의 영향으로 드라마와 예능프로그램이 꾸준히 해외로 수출되는 점은 광고영상감독의 일자리에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방송산업 지표 추이(2018~2021)
구분 | 2018 | 2019 | 2020 | 2021 |
---|---|---|---|---|
종사자(명) | 37,288(1.3%) | 37,553(0.7%) | 37,133(-1.1%) | 36,592(-1.5%) |
방송사업매출(원) | 17조 3,057억(4.8%) | 17조 6,717억(2.1%) | 18조 118억(1.9%) | 19조 4,016억(7.7%) |
유로가입자(단자) | 32,779,097(3.5%) | 33,814,617(3.2%) | 34,785,225(2.9%) | 35,773,510(2.8%) |
수출 총액(달러) | 3억 2,680만(14.4%) | 3억 6,714만(12.3%) | 4억 9,154만(33.9%) | 4억 3,323만(-11.9%) |
제작?구매(원) | 3조 415억(18.5%) | 3조 2,388억(6.5%) | 2조 8,819억(-11.0%) | 3조 92억(4.4%) |
자료 : 방송통신위원회, 「2022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2022)
주 : ( )는 전년 대비 증감률
방송 채널의 다양화, 방송프로그램의 세분화 등 방송 산업이 점차 커짐에 따라 광고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소비자들의 취향이 다양화하고 소비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업의 마케팅 활동이 촉진되고 있다. 또 전통적인 4대 매체(신문, TV, 잡지, 라디오)를 이용하는 광고인 ATL(Above The Line)과 미디어를 사용하지 않는 양방향적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BTL(Below The Line, PPL?온라인 이벤트?협찬?체험단 등), ATL과 BTL의 혼합 방식인 TTL(소셜미디어, 디스플레이 배너, 동영상 광고 등) 등 광고매체가 다변화되고 있어 관련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방송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 미디어 관련 법의 개정으로 방송과 신문, 통신과 인터넷 등 미디어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휴대전화, 인터넷 등 통신 수단으로 방송을 손쉽게 수신하게 되면서 이에 적합한 광고를 제작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광고영상감독에게 요구되는 경험이나 경력이 중요해지면서 기존 경력이 풍부한 감독을 중심으로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또 기술의 발달로 촬영과 편집 기술이 쉬워지고, 아이디어만 있으면 광고를 찍을 수 있게 되면서 이전에 비해 광고 제작이 용이해 지는 점은 광고시장에서 광고영상감독 간의 경쟁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경제 성장, 기업 간 경쟁 심화와 더불어 방송산업의 성장에 따른 광고 시장의 확대, 광고매체의 다변화 등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광고영상감독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작성)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감독은 연극, 영화, 라디오, TV프로그램 및 광고 등의 제작을 감독, 연출한다. 기술감독은 연출에 필요한 촬영, 무대장치, 편집 등의 기술적 업무를 계획, 지도, 조정하는 업무를 한다. 방송연출가는 방송프로듀서(PD : Producer, Program Director)라고도 하며 지상파방송사, 종합 유선방송사, 종합편성채널, 독립프로덕션 등에서 근무한다. 라디오 혹은 텔레비전의 보도, 교양, 오락 (예능, 드라마, 스포츠) 등의 프로그램 기획부터 촬영, 편집 등 제작과정과 섭외...
테마별 찾기
"인생의 지루한 면을 걷어내고 보여주는 사람!" “영화를 사랑하는 첫 단계는 영화를 두 번 보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영화에 관한 평을 쓰는 것이고, 세 번째는 영화를 만드는 것이다. 그 이상은 없다.” 누벨바그(Nouvelle Vague)를 대표하는 감독 프랑수와 트뤼포의 말입니다. 여기서 영화는 연극, 드라마, 다큐멘터리로 바꾸어 생각할 수도 있겠죠. 누벨바그는 ‘새로운 물결’을 뜻하는 프랑스어로, 1950년대 후반 프랑스의 젊은 감독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새로운 풍조를 말합니다. 그들은 전통과 관습에서 벗어나 감독의 ...
“영화를 사랑하는 첫 단계는 영화를 두 번 보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영화에 관한 평을 쓰는 것이고, 세 번째는 영화를 만드는 것이다. 그 이상은 없다.” 누벨바그(Nouvelle Vague)를 대표하는 감독 프랑수와 트뤼포의 말입니다. 여기서 영화는 연극, 드라마, 다큐멘터리로 바꾸어 생각할 수도 있겠죠. 누벨바그는 ‘새로운 물결’을 뜻하는 프랑스어로, 1950년대 후반 프랑스의 젊은 감독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새로운 풍조를 말합니다. 그들은 전통과 관습에서 벗어나 감독의 창조적 개성이 반영된 영화를 만들고자 했어요. 작가...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