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연극 및 뮤지컬배우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극 및 뮤지컬배우는 연극 또는 뮤지컬 공연에 출연하여 대본과 감독의 연출에 따라 연기를 한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으로 성장하고 있고, 국민의 경제?생활 수준 향상과 함께 문화 향유 수요가 커지면서 연극배우와 뮤지컬배우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예연감」에 따르면, 연극, 뮤지컬 등 공연 건수는 2015년 6,041건에서 2019년 11,167건으로 동기간 84.9%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20~2021년에는 공연 건수가 크게 줄었는데, 이는 코로나19 펜데믹의 영향으로 보인다.
연도별 연극 세부 장르별 공연 추이
(단위 : 건, 회)
구분 | 합계 | 연극 | 뮤지컬 | 복합 | 기타 | |
---|---|---|---|---|---|---|
2015 | 공연 건수 | 6,041 | 2,583 | 2,592 | 60 | 806 |
공연 횟수 | 104,539 | 52,904 | 36,193 | 308 | 15,134 | |
2016 | 공연 건수 | 6,903 | 2,706 | 2,772 | 158 | 1,267 |
공연 횟수 | 116,073 | 57,668 | 39,669 | 2,156 | 16,580 | |
2017 | 공연 건수 | 7,374 | 3,199 | 2,749 | 102 | 1,324 |
공연 횟수 | 93,917 | 45,344 | 34,047 | 1,532 | 12,994 | |
2018 | 공연 건수 | 8,752 | 3,456 | 3,317 | 195 | 1,784 |
공연 횟수 | 105,560 | 52,112 | 39,268 | 1,409 | 12,771 | |
2019 | 공연 건수 | 11,167 | 3,689 | 3,422 | 206 | 3,850 |
공연 횟수 | 102,259 | 51,411 | 34,951 | 1,602 | 14,295 | |
2020 | 공연 건수 | 2,819 | 1,611 | 701 | 53 | 454 |
공연 횟수 | 53,603 | 29,659 | 15,712 | 1,058 | 7,174 | |
2021 | 공연 건수 | 5,451 | 2,659 | 1,543 | 134 | 1,115 |
공연 횟수 | 69,524 | 37,932 | 20,943 | 691 | 9,958 |
자료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연감」(각 연도)
삶의 질 향상과 여가 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로 연극 및 뮤지컬 공연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연극축제 활성화, 테마별 특성화된 소규모 공연 증가와 함께 순수예술에 대한 관객들의 호응도 좋아지고 있으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공연에 대한 지원도 늘고 있어 향후 연극 및 뮤지컬배우의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연 시장이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이루며 성장하고 있고, 다양해진 관객의 취향에 따라 새로운 형식의 공연에 대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돼 연극 및 뮤지컬배우의 고용 증가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인기 배우가 등장하는 공연에 관객이 몰리는 공연계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여전하고, 재정적 곤란을 겪는 극단과 연극연출자의 어려움은 지속될 전망이어서, 연극 및 뮤지컬배우의 고용 역시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연극 및 뮤지컬배우를 희망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가수, 배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뮤지컬 분야로 유입되는 등 일자리 경쟁률은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꾸준한 성장, 문화콘텐츠에 대한 경제적 가치 증대, 문화콘텐츠의 확산 등으로 향후 10년간 연극 및 뮤지컬배우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배우는 드라마, 영화, 연극, 뮤지컬, 광고 등에 출연하여 연기를 하며, 활동 분야에 따라 영화배우, 연극배우, 탤런트, 뮤지컬배우, 개그맨, 코미디언, 스턴트맨 등으로 불린다. 모델은 패션쇼, 광고 등에서 주로 활동하는데, 패션쇼의 경우 의상, 무대, 조명 등 전체 콘셉트에 맞춰 워킹이나 표정을 연출한다. 배우는 배역이 결정되어 작품 출연이 확정되면 인물의 캐릭터를 분석하고, 연출자 및 감독, 작가 등과 논의하여 극중 인물에 맞는 표정, 행동, 대사 톤 등을 설정한다. 인물의 ...
테마별 찾기
‘맘마미아’, 사진엽서 속 지중해의 풍경처럼 하얀색과 푸른색이 어우러진 무대는 심플하지만 관객들의 마음을 시원하게 해줍니다. 그리스의 작은 섬을 배경으로 한 이 작품에서 배우들은 아바의 노래로 대화합니다. 시대를 타지 않는 히트곡들을 다시 듣는 것도 즐겁지만 거의 원곡 그대로 손대지 않은 가사가 극중의 상황과 절묘하게 맞아떨어지는 것도 신통합니다. 역사상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주크박스 뮤지컬이며 메릴 스트립 주연의 영화로도 기대 이상의 성적을 올린 [맘마미아]의 두 가지 키워드는 아바, 그리고 추억일 것입니다. 아바는 ‘댄싱 ...
‘스페인 광장’은 스페인에 있는 광장일 것 같지만 사실 로마에 있는 관광명소입니다. 17C에 스페인이 교황청과의 외교를 위해 이곳에 대사관을 세우면서 스페인 광장이라고 불리기 시작했죠. 지금은 쇼핑거리로 바뀐 이 평범한 광장이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것은 ‘로마의 휴일’이라는 영화 한 편 때문이었습니다. 왕실 생활에 염증을 느껴 도망 나온 공주, 오드리 헵번이 자유롭게 아이스크림을 먹는 곳이 이 스페인 광장의 계단이거든요. 이 영화는 1954년 작품이지만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전 세계의 관광객을 불러 모으고 있어요. 오드리 헵번은 이...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