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미디어콘텐츠창작자(크리에이터)의 일자리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디어콘텐츠창작자는 인터넷?모바일 기반의 미디어 플랫폼 환경에서 다양한 주제의 웹방송 콘텐츠를 기획, 편성하고, 촬영, 편집 등 제작 전 과정을 직접 수행하거나, 관련 제작진을 구성하여 제작 및 방송을 총괄하는 일을 한다. IT와 방송산업의 융합으로 콘텐츠 확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유튜브 등 웹방송을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이 대중화?다양화되면서 미디어콘텐츠창작자의 활동이 확대될 전망이다. 기존 미디어의 일방향 전달 매체에서 쌍방향 전달구조로 방송산업 구조가 변화하고, 매체가 다변화되는 등 방송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네트워크의 발달과 디지털카메라의 보급 확대로 영상 콘텐츠 제작과 편집이 수월해지고 정보의 습득이 텍스트나 정지 이미지에서 동영상 콘텐츠 중심으로 급속히 바뀌면서 1인 미디어가 급속하게 늘고 있다. TV뿐만 아니라 컴퓨터, 스마트폰, 모바일 단말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콘텐츠 소비가 가능해진 것도 미디어콘텐츠창작자의 일자리 확대 요인이 되고 있다. 국세청의 「1인 미디어 창작자 종합소득세 신고 현황」에 따르면, 종합소득세를 신고한 유튜버는 2019년 2,776명에서 2021년에는 3만 4,219명으로 3년 사이에 3만 명 이상이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2019년 875억 원에서 2021년 8,589억 원으로 약 880%가 증가하였다(“국세청 조사 타깃 유튜버… 상위 1%, 1인당 7억 원 벌었다”, 한국세정신문, 2023. 09. 04).
1인 미디어 창작자 종합소득세 신고 현황
(단위 : 명, 백만 원)
구분 | 2019 | 2020 | 2021 | |||
---|---|---|---|---|---|---|
인원 | 수입금액 | 인원 | 수입금액 | 인원 | 수입금액 | |
전체 | 2,776 | 87,511 | 20,756 | 452,081 | 34,219 | 858,898 |
상위 1% | 27 | 18,125 | 207 | 116,149 | 342 | 243,865 |
자료 : 한국세정신문, 「국세청 조사 타깃 유튜버… 상위 1%, 1인당 7억 원 벌었다」(2023. 09)
웹방송은 게임, 뷰티, 패션, 요리, 음식먹기(먹방) 등 방송 주제에 대한 제한이 없어 다양한 콘텐츠 생산이 가능하며, 시청자들의 피드백에 즉시 반응할 수 있어 채널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통적 방송 영역이 제공하는 콘텐츠에서 벗어나 개인 욕구를 반영한 콘텐츠 생산에 대한 수요가 지속됨에 따라 미디어콘텐츠창작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업계 진입이 용이하고, 진입에 제한이 없는 점도 종사자 수를 늘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단, 웹방송은 시장 진입 장벽이 없고, 향후에도 진출하고자 희망하는 사람이 많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종합하면, 편집 기술의 발달, 방송환경의 다매체?다채널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대중문화 콘텐츠 확산 등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미디어콘텐츠창작자의 일자리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작성)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감독은 연극, 영화, 라디오, TV프로그램 및 광고 등의 제작을 감독, 연출한다. 기술감독은 연출에 필요한 촬영, 무대장치, 편집 등의 기술적 업무를 계획, 지도, 조정하는 업무를 한다. 방송연출가는 방송프로듀서(PD : Producer, Program Director)라고도 하며 지상파방송사, 종합 유선방송사, 종합편성채널, 독립프로덕션 등에서 근무한다. 라디오 혹은 텔레비전의 보도, 교양, 오락 (예능, 드라마, 스포츠) 등의 프로그램 기획부터 촬영, 편집 등 제작과정과 섭외...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