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스포츠강사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포츠강사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각종 운동 종목의 운동 방법을 전문적으로 지도하는 일을 한다. 국민의 건강?여가?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 생활스포츠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은 스포츠강사의 고용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정부에서는 「스포츠산업진흥법」 및 「생활체육진흥법」에 기반하여 전문체육에서 생활체육으로 전환하면서 생활체육시설 확대, 클럽활동 확대 및 학교 스포츠강사 배치 사업 확대 등 국민의 건강과 체력증진을 도모하는 각종 정책을 펼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에 따르면, 공공체육시설 수는 2015년 2만 2,662개소에서 2021년 3만 3,729개소로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체육시설 수 증가는 스포츠강사의 고용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국 공공 체육시설 현황
(단위 : 개소)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테니스장 | 718 | 740 | 772 | 797 | 818 | 832 | 856 |
축구장 | 886 | 928 | 984 | 1,019 | 1,040 | 1,064 | 1,095 |
체육관 | 905 | 955 | 1,010 | 1,066 | 1,139 | 1,194 | 1,275 |
간이운동장 | 17,111 | 18,394 | 20,602 | 21,847 | 22,866 | 23,834 | 25,455 |
기타 | 3,042 | 3,286 | 3,559 | 3,849 | 4,322 | 4,630 | 5,048 |
계 | 22,662 | 24,303 | 26,927 | 28,578 | 30,185 | 31,554 | 33,729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고령화 진전에 따른 운동인구 증가와 외모가 경쟁력이 되면서 비만 등 미용 관리 차원에서도 체육활동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스포츠를 놀이공원처럼 즐기는 스포츠 테마파크(스포츠 몬스터, 팀업캠퍼스 등)가 더욱 활성화된다면 스포츠강사(안전요원 등)의 고용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민간 스포츠 시설 외 지방자치단체에서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방과 후 학교 등을 통해 다양한 스포츠 강좌가 개설되는 것도 스포츠강사의 고용에 긍정적이다. 또한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다양한 기술 지원으로 원격강의 등 시간 및 공간적 한계를 넘어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지면서 스포츠강사의 활동 영역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포츠강사는 시간제 근무가 많고 비정규직, 계약직의 고용 형태가 많아 고용이 다소 불안한 편이다. 업무 환경이나 보수가 열악하지만, 이?전직으로 인한 대체 일자리가 많기 때문에 취업에 큰 어려움은 없는 편이다. 다만, 대규모 종합스포츠센터나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구민체육관 등의 경우 상대적으로 업무 환경과 임금조건이 좋은 편이어서 취업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건강 및 여가에 대한 관심 증가, 생활체육시설 수 증가, 스포츠 테마파크의 등장, 고령화에 따른 건강 관리 수요 증가, 정부의 적극적 지원 등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스포츠강사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강사는 사람들이 건강한 신체와 마음을 유지하도록 수영이나 에어로빅, 헬스 등의 스포츠를 가르치거나 캠프, 사교모임 등의 행사에서 오락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진행한다. 스포츠강사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댄스, 요가, 피트니스(헬스), 수영, 스쿼시, 탁구, 태권도, 에어로빅, 골프, 검도, 스키 등의 스포츠를 가르친다. 담당 종목에 따라 수영강사, 골프강사, 요가강사, 댄스강사, 헬스트레이너, 태권도사범 등으로 불린다. 이들은 수영장, 태권도장, 실내골프연습장, 피...
테마별 찾기
스쿠버다이빙은 물속에서 호흡할 수 있게 도와주는 스쿠버 장비를 이용해 약 30m 깊이까지 잠수하여 즐기는 레저스포츠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숨을 쉬지 않고 참으면서 물속에서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은 30초~2분 정도라고 합니다. 바다 속을 구경하는 데에는 매우 짧은 시간이죠. 이 때문에 물속에서도 숨을 쉴 수 있게 해 주는 기구가 필요한 것입니다. 'scuba'는 대기 중의 공기를 직접 공급받지 않고 물속에서 자력으로 호흡을 할 수 있는 기구입니다. Self 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의...
번지점프는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며 추락하는 순간의 아찔함을 즐기는 스포츠입니다. 이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바누아투의 펜타코스트섬 원주민들의 성년식에서 유래했는데요, 성인의 요건으로 체력과 담력을 중시한 원주민들은 이를 시험하기 위해 ‘번랍’이란 나무탑을 세우고 칡의 일종인 번지의 열대덩굴을 엮어 만든 긴 줄을 발목에 묶고 뛰어내리게 했습니다. 통과의례라고 하기에는 자칫 목숨마저 걸어야 했기에 지나친 면이 있는 것 같지요? 하지만 도전과 모험을 즐기는 사람들에 의해 이는 스포츠로 거듭났습니다. 특히 1980년대 중반 뉴질랜드의 A.J...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