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스포츠·레크리에이션 종사자 > 스포츠트레이너
스포츠트레이너

임금

스포츠트레이너 하위(25%) 3,108만원, 중위값 3,600만원, 상위(25%) 4,040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스포츠트레이너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7.7%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다소증가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스포츠트레이너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포츠트레이너는 아마추어운동선수나 직업운동선수의 신체 및 건강 상태를 진단하여, 경기에 참가할 수 있는 최상의 신체 적성(컨디션)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언하고 훈련을 시킨다. 경기 기량이 뛰어난 선수라도 부상의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부상은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정서적으로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전문 스포츠트레이너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발생할 수밖에 없다. 또 스포츠트레이닝은 국가대표나 프로운동선수에게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아마추어 실업팀이나 재활병원,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스포츠센터에서도 운동기록 향상 또는 신체능력 향상에 효과를 준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인력 수요도 커지고 있다. 스포츠트레이너의 일자리는 스포츠 산업의 경기동향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스포츠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삶의 질이 향상되고 국민들의 건강과 여가 활용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스포츠 산업은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도 스포츠를 통한 국가 이미지 제고와 국민 건강 향상을 위해 학교 운동부와 체육계 학교의 육성을 지원하고, 우수 선수를 선발하기 위한 체계적, 과학적 육성 방안을 마련하는 등 엘리트 체육발전을 위한 지원을 하고 있다. 이처럼 스포츠에 대한 국민의 관심 증가와 정부의 지원은 스포츠트레이너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지원이 여전히 인기 종목의 스포츠로 제한되어 있고, 비인기 스포츠의 재정적 지원은 늘고 있지 않다. 비인기 스포츠 프로의 경우에는 신생 구단의 창단이 어렵고, 팀이 해체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어 스포츠트레이너의 신규 일자리 창출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국내 스포츠 산업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고, 장기적으로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 기업의 투자가 감소해 스포츠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한체육회의 전문체육인 현황에 따르면 운동선수는 2015년 14만 3,263명에서 2021년 13만 362명으로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출생으로 인한 자원 감소와 경제수준 향상에 따른 운동선수 지망 학생의 감소 등의 영향으로 보이며, 이는 결국 기존 운동팀의 해체 및 감소로 이어져 관련 일자리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문체육인(운동선수) 현황

(단위 : 명)

2015~2021년도 전문체육인 수 현황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전문체육인 수 143,263 138,778 136,045 135,637 147,330 122,323 130,362

자료 : 대한체육회 전문체육인 현황(운동선수)

종합하면, 유소년 인구 감소 등에 따른 운동선수 감소, 기업의 스포츠선수단 운영 감소 등의 부정적 요인이 있지만, 직업운동 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운동능력 및 신체능력 향상을 위해 스포츠트레이너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게 됨에 따라 향후 10년간 스포츠트레이너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작성)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유소년 인구 감소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일반인도 스포츠트레이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확대
-
과학기술의 발전 - -
국내외 경기 변화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경기 침체 장기화로 인한 기업 지원 축소 가능성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운동경기 종목 다양화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정부의 지원 강화
-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스포츠트레이너’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연예인 및 스포츠매니져

    연예인매니저는 가수, 탤런트, 영화배우, 개그맨 등 연예인의 스케줄을 조절하고, 이미지를 관리하는 일을 한다. 스포츠매니저는 운동선수의 트레이드 협상이나 입단계약을 비롯해 선수생활 전반을 책임지고 지원한다. 연예인매니저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성장하면서 전문 직업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주요 업무에 따라 로드매니저(Road Manager), 치프매니저(Chief Manager), 제작매니저 등으로 나뉜다. 이 밖에 신인가수나 신인연기자 발굴만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캐스팅매니저도 있다...

  •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