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수의사보조원(동물보건사)의 일자리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의사보조원은 수의테크니션, 동물보건사라고도 불리는데, 동물병원에서 수의사를 보조하여 진료, 검사, 연구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수의사보조원의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국내 반려동물 문화의 확산 및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가구의 증가라고 할 수 있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에 따르면, 2021년 기준(등록 기반: 물리적 장소가 있는 사업체 조사자료와 행정자료를 활용한 가구 내 사업체를 추가 조사한 자료의 합계)으로 ‘수의업’의 사업체 수는 4,630개, 종사자 수는 18,772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각각 55개소(1.2%), 4,279명(2.3%) 증가한 수치이다. 종사자 수에는 수의사가 포함되며, 대학에서 수의자 배출 인원이 연간 500명 내외이므로 동물병원 등의 증가에는 한계가 있다. 생활 수준의 향상과 1인 가구의 증가 등으로 반려동물을 친구나 가족같이 함께 생활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국내의 반려동물 인구가 늘어나는 가장 큰 이유로는 1인 가구의 증가를 꼽을 수 있다.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등록 센서스 방식)’ 결과에 따르면 1인 가구는 빠른 증가세를 보여 2021년 기준 717만 가구에 이른다(전체 가구 수의 33.4%에 해당). 또한 자기 자신을 위한 삶을 중요시하고 경제적인 이유로 자녀를 가지지 않는 딩크족(Double Income, No Kids)이 늘어나고 있으며, 아이 대신 반려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딩펫족(DINK+pet)이나 펫팸족(pet+family)이 늘고 있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다 보니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에도 적극적이다. 농림축산식품부의 「2019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에 따르면 국내 반려견 수는 2012년에 439만 마리에서 2020년 598만 마리로 동기간 159만 마리(36.2%)가 증가하였으며, 반려묘 수는 2012년 115만 마리에서 2019년 258만 마리로 동기간 143만 마리(124.3%)가 증가하였다.
연도별 반려견, 반려묘 수(추정치)
(단위 : 만 마리)
연도 | 2012 | 2015 | 2017 | 2018 | 2019 |
---|---|---|---|---|---|
반려견 수 | 439 | 513 | 662 | 507 | 598 |
반려묘 수 | 115 | 190 | 233 | 128 | 258 |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2019년 동물보호 국민의식조사”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의 「2022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비중은 2010년 17.4%에서 2020년 27.7%로 동기간 10.3%p 증가했다. 가구 수는 638만 가구, 인구 수는 약 1,500만 명으로 추정된다. 반려동물 1마리당 월평균 양육 비용(병원비 포함)은 2022년 기준 약 15만 원으로 전년 대비 약 3만 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의 증가와 반려동물 가구의 비중 증가는 자연스럽게 동물의료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수의사신문 <데일리벳>에 따르면 2023년 3월 현재 전 세계 동물용의약품 시장 규모는 약 62조 원으로 추정되며, 이중 반려동물의약품 비율이 절반 정도를 차지한다. 국내 동물용 의약품 시장 규모는 2013년 5,459억 원에서 2021년 9,229억 원으로 최근 8년 간 약 70% 성장했다. 하지만 반려동물용 의약품의 비율은 9.3%에 그쳐 반려동물 의료시장은 다른 분야에 비해 성장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동물용 의료기기 시장의 규모도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동물병원의 엑스레이 장비 보유 대수는 2014년 2,141대에서 2018년 3월 31일 기준 2,954대로 증가하였다. 그 외에 CT, C-ARM(영상증폭장치), 이동형 엑스선 장치, 치과용 엑스선 장치 등도 2014년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생활 수준 향상 및 반려동물에 대한 소비 지출 증가, 1인 가구 및 반려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딩펫족의 증가, 국내 동물병원의 반려동물용 의료기기 도입 증가 및 국내 동물용 의약품 중 반려동물용 의약품의 비중이 낮은 점 등은 국내 수의업 시장의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향후 10년간 수의사보조원 취업자 수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집에서 키우는 개를 특별히 교육시킬 필요가 있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아파트나 공공주택에서 개를 키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공공장소에서도 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기본적인 훈련을 시키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안내견을 훈련하는 과정은 강아지가 성견(사람으로 치면 ‘성인’)이 되는 과정 전반에 걸쳐 이루어진다. 안내견 또는 안내견의 성품과 자질을 갖춘 모견으로부터 태어난 강아지는 한동안 모견과 생활하다가 위탁가정에서 1년간 ‘퍼피워킹’의 단계를 거친다.
애견유치원교사는 애견의 전문적인 생활교육과 각종 사회화 훈련 등을 돕는 애견 전문 교사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