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건설·채굴직 > 건설구조 기능원 > 조적원
조적원

임금

조적원 하위(25%) 3,200만원, 중위값 3,730만원, 상위(25%) 4,352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조적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4.2%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현 상태 유지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조적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벽돌공이라고도 불리는 조적원은 건축물의 내?외벽, 기둥, 굴뚝, 보도 등의 구조물을 만들기 위하여 벽돌, 치장벽돌, 블록 등을 쌓거나 해체하는 일을 한다. 아파트의 경우, 주로 욕실, 베란다, 대피공간 등에 조적 작업이 필요하다. 「건설근로자 수급 전망(2022-2024 평균)」(중기(2022-2024), 건설업 외국인근로자 적정 규모 산정 연구, 최은정?나경연, 2022)에 따르면 2020년 조적원은 23,332명에서 2021명 20,841명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조적원의 수요는 115.9천 명이나 실질 근로자는 내국인 80천 명, 외국인 31천 명으로 내국인 수급 격차(부족분)는 3.6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었다.

직종별 건설근로자 분포

(단위 : 명, %)

직종별 건설근로자 분포로 보통인부, 형틀목공, 철근공, 배관공,비계공, 조적공, 기타, 전체 항목의 연도별 인원 및 비중, 전년 대비 증감률을 나타냄
구분 2020년 2021년 전년 대비 증감률(%)
인원 비중 인원 비중
보통인부 543,738 34.4 541,385 34.8 -0.4
형틀목공 134,060 8.5 139,739 9.0 4.2
철근공 70,777 4.5 73,494 4.7 3.8
배관공 94,779 6.0 88,944 5.7 -6.2
비계공 24,160 1.5 22,737 1.5 -5.9
조적공 23,332 1.5 20,841 1.3 -10.7
기타 688,771 43.6 667,897 43.0 -3.0
전체 1,579,607 100.0 1,555,037 100.0 -1.6

자료 : 건설근로자공제회, 2021년도 건설근로자 고동복지사업연보최은정?나경연, 「건설근로자 수급 전망(2022-2024 평균)」 (중기(2022-2024) 건설업외국인 근로자 적정 규모 산정 연구, 2022)

조적원의 일자리는 건설경기와 건설공법 변화의 영향을 받는다. 정부의 3기 신도시를 포함한 공공택지와 재개발?재건축 확대 방안 및 규제 완화 등을 통한 2023~2027년 270만 호 주택공급(인허가 기준) 계획 등은 조적원의 일자리에 긍정적 요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국내 건설수주(건설업체와 발주자의 공사계약) 규모가 2020년 194.1조 원, 2021년 212.0조 원, 2022년 223.5조 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인 반면, 건설투자(건설업체의 실제 시공 실적) 규모는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1년에는 265조 원으로 2016년 수준으로 회귀한 상태인 점 등을 볼 때 건설경기 전반이 위축되고 있다(「2023 건설경기전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더욱이 경제 유동성 위기는 향후 수년간 신규 건설사업과 건설경기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단, 최근 1인 가구 및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다양한 특성을 지닌 주택 수요(소형 오피스텔, 실버타운, 전원주택 등)가 증가하는 점은 조적공의 일자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건설공법의 변화로 조적 수요가 줄어드는 것도 관련 일자리 감소에 큰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작업속도 제고, 작업의 효율화, 민원 발생 및 산재사고 저감을 위해 설계 단계에서부터 벽돌을 쓰지 않고 다른 공법으로 변경하는 경우가 많고, 조적보조원의 일이었던 벽돌 운반 작업을 장비가 대신함으로써 보조원 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해외의 경우, 비용 절감을 위해 싱글레이브즈(치장벽제)를 통해 장막벽이나 비내력벽 등을 감싸 벽돌사용 대체 공법이 늘고, 장비를 사용해 자동으로 벽돌에 모르타르를 바르고 쌓는 데까지 기술이 발전하였다. 과거에는 줄을 쳐서 간격을 맞추어 작업했지만, 현재는 작업자가 3D 안경을 착용하면 GPS를 통해 내부 센서가 자동으로 간격을 맞춰 모눈줄, 레이아웃 등을 별도의 과정 없이 조적 작업이 가능하다. 국내는 아직 조적 작업 수준이 자동화되거나 디지털 장비의 도움을 받는 수준은 아니다. 내국인, 특히 젊은 인력의 신규 유입이 없는 상황이고, 조적 시공 시 분진으로 인한 민원 발생도 빈번하여 작업의 효율화를 가져올 최신장비 도입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한 인력수요 감소를 예상할 수 있다.

종합하면, 주택공급 확대 등 긍정적 요인도 있으나 경기 유동성으로 건설경기 위축 우려가 있고, 벽돌을 대체하는 건축시공법 도입 등 부정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향후 10년간 조적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작성)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1~2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다양한 주택 수요 증가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젊은 층 신규 진입 기피
과학기술의 발전 -
  • 건설공법 고도화
국내외 경기 변화
  • 민간에서의 대형건축물 시공
  • 기존 건축물 보수보강 수요
  • 경기 불확실성 및 건설경기 위축 우려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건설투자 감소
환경과 에너지, 자원
  • 신재생에너지 시설물 공사 수요
  • 노후화된 교량 및 도로 재가설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주택공급 확대
  •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
  • 사회기반시설(SOC) 투자 및 토목공사 감소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조적원’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측량 및 지리정보전문가

    측량기술자는 건설공사의 계획·설계·시공을 위한 평면측량 외에 국토에 관한 조사·연구, 지도 제작 등을 위해 GPS를 이용한 측지측량,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구관측, 음향탐지기를 이용한 수중 탐사 등을 수행한다. 측량을 실시한 후 측량 정보를 분석한다. 측량은 우리가 살고 있는 땅, 바다, 하천, 우주 등을 포함한 모든 공간상의 위치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거리·각·면적 및 형상 등을 재는 것을 말한다. 최근 지적과 측량이 정보통신기술(ICT)의 핵심인 공간정보로서 주목받고 있다....

  •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