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주조원(주조기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조원은 금속재료를 가열하여 용해된 액상 상태로 만들어 이것을 거푸집과 같은 주형 속에 부어 응고시키는 과정을 통해 일정한 형태의 제품을 만드는 기능적 일을 한다. 산업통상자원부「2022년 뿌리산업실태조사」(2022)의 ‘직무별 종사자 현황’을 보면, 주조 기능직 종사자 수는 2018~2019년 3만 명대를 넘어섰다 2020년 이후 다시 2만 명대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6대 뿌리산업 직종별 기능직 취업자 현황
(단위 : 명)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주조 | 22,110 | 21,299 | 24,344 | 32,634 | 31,937 | 27,572 | 28,640 |
금형 | 51,461 | 56,694 | 55,745 | 55,368 | 54,950 | 57,836 | 52,897 |
소성가공 | 58,579 | 71,609 | 55,850 | 50,102 | 51,672 | 54,234 | 61,706 |
용접 | 74,555 | 88,114 | 84,208 | 111,687 | 95,409 | 96,911 | 89,414 |
표면처리 | 34,525 | 42,268 | 40,117 | 45,840 | 54,133 | 46,838 | 45,118 |
열처리 | 7,016 | 7,828 | 8,138 | 12,379 | 12,725 | 11,623 | 11,196 |
전체 | 248,245 | 287,811 | 268,275 | 308,281 | 300,826 | 295,014 | 288,971 |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뿌리산업실태조사」(연도별)
주조원 기능직의 경우, 남성 비율이 전체의 94.2%로 매우 높고, 외국인 근로자 비중은 16.4%로 뿌리산업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조원의 연령대는 40대가 가장 많으나, 뿌리산업의 다른 업종에 비해서는 20대 이하 비중이 높은 편이다(「2022 뿌리산업백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조는 기계제품, 전자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기계가공의 중요한 분야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2022 뿌리산업백서」에 따르면, 주조업 매출의 약 77%가 기계, 자동차산업에서 발생한다. 그 외 전자, 조선 산업에 대한 수요 비중이 높고, 전체 기업 중 수출기업 비중이 19.8%로 타 업종보다 높은 편이다. 수출 비중이 높다는 것은 전 세계 경기와 관련이 있다. 최근 전 세계적인 경기둔화 및 불확실성 지속은 주조원을 비롯한 기존 금속제품 제조업의 고용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조선업의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와 중국의 경기 개선이 기대되고, 우리나라의 기계, 자동차, 전자 산업 등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어 주조원의 고용시장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주조 공정에 자동화시스템과 로봇, 스마트팩토리 등 첨단기술이 적극 도입되면서 국제경쟁력을 확보해가고 있어 이들 공정관리시스템을 운용?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꾸준한 편이다. 그러나 자동차산업 트렌드가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차로 급격히 바뀌고 있는 점은 주조 기술을 사용한 자동차 부품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주조제품 공정 전반에 기계화와 자동화, 스마트팩토리가 진전됨에 따라 주조원에 대한 인력 수요는 일정 수준 이하까지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3D프린팅 기술의 발달과 도입도 주조원을 비롯한 기존 금속제품 제조업의 고용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종합하면, 주요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전환 등으로 인한 자동차산업에서의 수요 감소 등 부정적 요인이 크기 때문에 향후 10년간 주조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주조산업은 용해된 금속 쇳물을 주형(Mold) 속에 넣어 응고, 냉각시켜서 원하는 모양으로 만든 금속제품(주물)을 만들어 내는 산업으로, 주조원은 금속이나 비금속을 가열하여 용해된 액상의 금속을 만들어 이것을 원하는 주형에 부은 다음 식혀서 일정한 형태의 제품을 만드는 일을 한다. 이 과정에서 각종 분진과 유해가스 등 오염원과 작업자의 작업 위험요소가 많다. 주조원은 주조과정에 따라 모형(원형)의 제작, 조형작업, 주조 금속의 용해와 주입, 제품의 열처리를 거쳐 최종 주물제품...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