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재봉사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봉사는 직물, 모피, 가죽 등의 재료로 의복이나 기타 직물 제품을 재봉기를 사용하여 실로 바느질하는 업무를 한다. 국내 섬유제조업체들은 생산시설 및 공장 시스템을 무인 자동화하여 소수 인력으로 제품생산이 가능한 체제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맞춤형 봉제 자동화기기, 인공지능(AI) 재봉기 등 기계가 현대화되고 자동화되면서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국내 인건비 상승으로 생산단가의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인건비가 싼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으로 생산공장을 이전하는 것도 국내 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생산시설의 자동화는 향후에도 지속될 전망이어서 관련 일자리도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미 국내 재봉 현장의 재봉사 고용은 크게 감소한 상태여서 급격한 고용 감소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베트남 공장이 락다운되는 등의 경험으로 의류 제조기업의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이 주목받고 있다. 원가절감을 위해 생산기지를 모두 해외로 이전한 경우, 상황에 따라 물량 수급이 어려워질 수 있어 기업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국내 생산공장을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한다면 재봉사의 일자리도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종합하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의 생산공장 리쇼어링 등의 증가 요인이 있으나 저성장의 영향과 공장 자동화, 인건비 절감을 위한 생산공장의 해외 이전 등으로 인력 수요 감소 요인이 크다. 하지만 현재도 재봉사 고용이 많이 감소해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향후 10년간 재봉사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작성)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