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과수작물재배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수작물재배원은 각종 과수작물을 심고 경작하며 수확하여 포장한다. 통계청의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농가 수는 2015년 108만 8,518가구에서 점차 감소하여 2022년에는 102만 2,797가구로 2020년 이후 다소 개선되었으나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전체 농가인구는 2015년 256만 9,387명에서 2022년에는 216만 5,626명으로 8년간 약 40만 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 및 농가인구 변화 추이
(단위 : 가구, 명)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농가 | 1,088,518 | 1,068,274 | 1,042,017 | 1,020,838 | 1,007,158 | 1,035,193 | 1,031,210 | 1,022,797 |
농가인구 | 2,569,387 | 2,496,406 | 2,422,256 | 2,314,982 | 2,244,783 | 2,314,064 | 2,215,498 | 2,165,626 |
농가인구(남) | 1,264,652 | 1,221,825 | 1,184,279 | 1,130,435 | 1,099,942 | 1,153,286 | 1,100,028 | 1,069,191 |
농가인구(여) | 1,304,735 | 1,274,581 | 1,237,977 | 1,184,548 | 1,144,841 | 1,160,778 | 1,115,470 | 1,096,435 |
자료 : 통계청, 「농림어업조사」
농가인구가 다소 감소하는 가운데 과수농가는 2020년 229,418가구에서 2021년 243,901가구, 2022년 245,412가구로 다소 늘었다. 가장 대표적 과수인 사과, 배, 복숭아, 단감, 포도, 감귤, 떫은 감의 생산은 농업의 특성상 당해 자연재해 같은 영향 등을 감안했을 때 5년간 비슷한 선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수재배의 경우, 과실수를 뽑거나 과수원을 제거하는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다음 해에 다시 농사가 시작되기 때문에 생산량에 차이가 있어도 농가 수는 비슷한 선을 유지한다.
과수재배 농가 수 변화 추이
(단위 : 가구)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농가 | 1,088,518 | 1,068,274 | 1,042,017 | 1,020,838 | 1,007,158 | 1,035,193 | 1,031,210 | 1,022,797 |
과수재배 농가 | - | - | - | - | - | 229,418 | 243,901 | 245,412 |
사과 | 38,651 | 43,373 | 44,152 | 43,125 | 44,806 | 38,608 | 41,397 | 41,309 |
배 | 15,229 | 15,380 | 15,835 | 15,545 | 14,718 | 11,898 | 13,573 | 13,049 |
복숭아 | 29,535 | 36,087 | 36,686 | 38,143 | 39,414 | 32,621 | 36,937 | 35,597 |
단감 | 25,095 | 30,398 | 30,804 | 31,388 | 31,808 | 28,322 | 34,294 | 33,368 |
포도 | 27,907 | 22,945 | 21,337 | 19,674 | 20,630 | 21,881 | 25,094 | 26,337 |
감귤 | 21,020 | 21,521 | 21,342 | 20,590 | 20,524 | 19,701 | 21,028 | 21,267 |
떫은 감 | 42,729 | 51,462 | 53,381 | 50,761 | 50,728 | 32,812 | 46,676 | 49,288 |
기타 | 96,445 | 108,831 | 111,094 | 115,859 | 110,976 | 99,311 | 101,620 | 100,837 |
자료 : 통계청, 「농림어업조사」
과수작물재배원의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국민의 식생활과 관련이 있다. 과일은 웰빙이나 건강관리 차원에서 소비자가 자주 찾는 농식품이며, 고급 상품으로 가공하고 유통망을 개선해 수익을 내기 좋은 농산물이어서 앞으로도 생산과 소비가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산물 시장이 국제화됨에 따라 과일 수입이 증가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품종개량으로 높은 가격에 수출하는 국산 과일 품종이 늘고 있어 농가 수익을 올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스마트팜의 개발 및 보급은 과수작물재배원을 포함한 농업 종사자의 일자리 전망에 중요한 영향 요인이다. 스마트팜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농작물 재배시설의 온도?습도?일조량?이산화탄소?토양 등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장치와 시설을 갖춘 최첨단 농장을 말한다. 과수재배에서도 스마트팜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나 과실수는 수확 과정에서 일손이 많이 필요하고, 고급 상품의 경우 사람 손을 거치는 과정이 포함된다. 스마트팜은 고령자의 영농을 용이하게 하고 청년층의 유입을 촉진하는 한편, 적은 인력으로 농업 생산을 가능하게 해 인력감소 요인이 되기도 한다. 과수작물재배원의 일자리는 농업인구의 고령화 및 청년세대 유입 감소 현상과 맞물려 있고, 농업기술 발전으로 농업인력 수요가 감소하는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농업은 식량안보 차원에서 중요한 산업으로 정부가 정책적으로 보호하는 산업에 해당한다. 친환경?유기농 농산물 및 웰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정부와 관련 업계에서 식품산업 및 바이오식의약품 산업 육성, 친환경 농법 개발 등에 힘쓰는 등 농촌경제 활성화와 농촌인구 유입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종합하면, 농촌으로 인구 유입이 활발하지 않고 농업인구 고령화, 농산물 수입 증가, 스마트 기술 도입 등 부정적인 요인이 존재하지만, 상품 고급화 전략으로 수출 기회가 많고 자동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점을 고려했을 때 과수작물재배원의 향후 10년간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농림어업기술자는 하나의 직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농업, 임업, 어업에 종사하는 기술자를 통칭 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농림어업기술자에는 농업기술자(농촌지도사), 임업기술자(산림경영지도원), 해양수산기술자(어촌지도사)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농업기술자(농촌지도사)는 농가를 대상으로 농업소득 증대, 작물생산 기반의 확충,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해 재배기술 및 우량품종 등에 관한 교육·홍보를 실시하고 지도한다. 교육을 통하여 각종 작물재배 방법과 신품종을 보급하고, 농업인의 의식개...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