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낙농종사원의 일자리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낙농종사원은 젖소를 사육하고 우유 생산을 위한 제반 작업을 수행한다. 통계청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가축사육 농가 중 젖소암컷을 사육하는 농가는 2015년 4,433호에서 2022년 3,018호로 매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 「가축사육조사」에서도 젖소 농가 수는 매년 감소해 2015년 6,979호에서 2022년 5,888호로 줄었고, 젖소 역시 42만 8천 마리였던 2015년 대비 2022년에 약 3만 8,000마리가 줄어 약 39만 마리가 사육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젖소암컷 사육 농가 수 변화 추이
(단위 : 가구)
항목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농가 수 | 4,433 | 3,840 | 3,699 | 3,767 | 3,576 | 3,339 | 3,209 | 3,018 |
자료 : 통계청, 「농림어업조사」(2022)
젖소 농가 수 및 젖소 변화 추이
(단위 : 가구, 두)
항목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젖소 농가 수 | 6,979 | 6,822 | 6,503 | 6,360 | 6,168 | 6,106 | 6,105 | 5,888 |
젖소 마릿수 | 428,311 | 417,937 | 408,830 | 407,894 | 408,135 | 409,790 | 400,798 | 389,860 |
자료 : 통계청, 「가축동향조사」
다만, 국내 우유 소비량을 살펴보면, 소비 총량과 1인당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백색 우유 소비량은 2018년 이후 다소 감소했지만, 상대적으로 치즈 같은 낙농제품의 소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저출생의 영향으로 우유 소비가 줄어든 반면,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유제품 소비가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유 국내 소비량 및 1인당 소비량 변화 추이
항목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
국내 소비량 | 총량(톤) | 3,834,096 | 3,913,515 | 4,091,871 | 4,138,116 | 4,227,625 | 4,345,185 | 4,448,459 | 4,410,490 | |
1인당(kg) | 75.7 | 76.4 | 79.5 | 80.1 | 81.8 | 83.9 | 86.1 | 85.7 | ||
1인당 소비량 (kg) | 시유 | 백색 | 26.6 | 27.0 | 26.6 | 27.0 | 26.7 | 26.3 | 26.6 | 26.2 |
가공 | 6.0 | 5.7 | 6.2 | 6.0 | 6.3 | 5.5 | 5.4 | 5.4 | ||
발효유 | 액상 | 9.3 | 8.0 | 8.6 | 8.5 | 8.8 | 8.3 | 8.4 | 8.0 | |
호상 | 2.4 | 2.0 | 2.2 | 2.2 | 2.4 | 2.6 | 2.7 | 2.4 | ||
치즈 | 자연 | 2.1 | 2.0 | 2.2 | 2.2 | 2.2 | 2.6 | 2.7 | 2.7 | |
가공 | 0.5 | 0.7 | 0.8 | 0.8 | 1.0 | 1.0 | 1.0 | 1.0 |
자료 : 낙농진흥회, 「국내 우유소비량 유통소비통계」
우유 소비가 늘어도 국내산 원유 가격 상승으로 수입품이 해당 수요를 차치하고 있어 낙농업의 어려움은 여전히 존재한다. 낙농업계 인력의 고령화가 지속되고 있고, 청년층의 진입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대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생산의 대규모화와 시설 자동화, 스마트팜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는 오히려 인력 수요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종합하면, 젖소사육 농가와 농장의 감소, 낙농 인력의 고령화, 생산의 대규모화, 유제품 수입 증가 등을 비롯해 저출생으로 인한 우유 소비의 감소 역시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낙농종사원의 일자리는 향후 10년간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재배하는 품목에 따라 곡식작물 재배원, 채소 및 특용작물 재배원, 과수작물 재배원, 원예작물 재배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작물재배는 토지, 노동력, 기후조건 등을 고려하여 재배품목을 선정하는 일에서부터 시작된다. 재배품목이 결정되면 종자나 묘목을 구입하여 파종을 한다. 작물에 비료를 뿌리고 제초 작업을 하며, 농약살포 등 병충해 방제를 위한 여러 작업을 한다. 수확기에 접어든 작물은 때를 놓치지 않고 적당한 시기에 수확해야 하며 작물에 따라 건조, 가공 등의 과정을 거친다....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