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가축사육종사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축사육종사원은 가축을 번식?사육하며 낙농제품을 생산한다. 통계청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가축사육 농가는 매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농가 수가 가장 많은 한우 농가는 2015년 7만 3,619가구에서 2022년 5만 7,149가구로 감소하였고, 특히 육계 농가 수는 2015년 1만 939가구에서 2022년 5,590가구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외 육우나 젖소암컷, 돼지, 오리 가축사육 농가는 증감을 보였으나 2022년에는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축사육별 농가 수 변화 추이
(단위 : 가구)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한우 | 73,619 | 74,876 | 72,095 | 70,483 | 67,493 | 57,435 | 60,330 | 57,149 |
육우 (젖소수컷 포함) |
3,375 | 2,281 | 1,772 | 2,074 | 1,951 | 2,135 | 1,497 | 1,514 |
젖소암컷 | 4,433 | 3,840 | 3,699 | 3,767 | 3,576 | 3,339 | 3,209 | 3,018 |
돼지 | 4,389 | 4,210 | 3,871 | 3,573 | 3,245 | 2,986 | 3,162 | 3,018 |
육계 | 10,939 | 15,306 | 11,257 | 10,531 | 8,434 | 9,368 | 7,207 | 5,590 |
산란계 | 16,504 | 22,091 | 19,943 | 24,960 | 22,508 | 23,814 | 22,225 | 19,120 |
오리 | 1,698 | 1,526 | 1,066 | 942 | 979 | 1,116 | 1,007 | 704 |
합계 | 114,957 | 124,130 | 113,703 | 116,330 | 108,186 | 100,193 | 98,637 | 90,113 |
자료 : 통계청, 「농림어업조사」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친환경?유기농 축산기법이 도입되고, 육류의 브랜드화와 질병 관리 강화로 고품질의 육류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축산업에 관광?문화?유통?식품?첨단기술 등을 접목한 6차 산업화(농촌 융?복합 산업) 추진 등을 통해 축산농가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존의 전통 축산분야가 아닌 말이나 곤충산업(식용, 관상용, 교육용 등) 등 새로운 분야에서 산업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토종 축산종자의 복원 등 새로운 수입원이 개척되고 있는 점은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축산물 시장 개방이 확대되고, 사료 및 축산기계나 시설 등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국내 축산농가들의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가축사육 농가 수의 감소와 함께 생산활동이 위축되고 있다. 또한,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와 구제역(FMD)의 연중 상시 발생 등으로 축산농가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축산업계는 인력 고령화가 지속되고 있고, 청년층의 진입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가 대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축산 생산의 대규모화와 시설 자동화, 스마트팜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는 오히려 인력 수요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종합하면, 축산업계는 대체 시장 개척과 육류 브랜드화, 축산물 질병관리 강화 등으로 축산업 발전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이미 상당 부분 축산농가와 축산인구가 감소한 상태이므로 향후 10년간 가축사육종사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재배하는 품목에 따라 곡식작물 재배원, 채소 및 특용작물 재배원, 과수작물 재배원, 원예작물 재배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작물재배는 토지, 노동력, 기후조건 등을 고려하여 재배품목을 선정하는 일에서부터 시작된다. 재배품목이 결정되면 종자나 묘목을 구입하여 파종을 한다. 작물에 비료를 뿌리고 제초 작업을 하며, 농약살포 등 병충해 방제를 위한 여러 작업을 한다. 수확기에 접어든 작물은 때를 놓치지 않고 적당한 시기에 수확해야 하며 작물에 따라 건조, 가공 등의 과정을 거친다....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마필관리사는 조교사나 기수를 보조하여 경주용 또는 승마용말을 사육·관리하고 훈련시키는 사람입니다. 보통 목장이나 승마장, 경마공원 등에서 일하며, 말의 상태를 살펴 사료와 첨가제를 먹이는 ‘사양관리’부터 ‘구사관리’, ‘보건관리’, ‘장제관리’ 등을 책임집니다.
현대에서 말은 경마, 승마 등의 스포츠에서만 주로 볼 수 있지만 과거에는 우리의 교통수단으로 그리고 전투에서는 이동수단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장제사는 말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직업입니다. 장제사는 말의 신발인 편자를 제조하거나 이미 만들어진 편자를 말굽에 장착합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가축사육사 (00:03) NA. 시원하게 뻗은 고속도로를 따라 전북 고창으로 향하는 길. 바로 이곳에 위치한 축산 농가에 오늘의 주인공이 있다는데.. 김장현 / 가축사육사 : "반갑습니다. 율촌목장 김장현 입니다." Q: 가축사육사란? 김장현 / 가축사육사 : 가축사육사란 우리가 먹는 육류나 우유, 치즈 같은 먹거리를 생산하기 위해서 소, 돼지, 닭 등을 기르는 사람을 말합니다. (00:38) NA. 주인공이 축산업을 시작한 건 3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Q: 축산업을 시작한 계기는? 김장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