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설치·정비·생산직 > 공예원 및 귀금속세공원 > 귀금속·보석세공원
귀금속·보석세공원
[직업정보 요약] 1.하는 일, 2.교육/자격/훈련, 3.임금/직업만족도/전망, 4.능력/지식/환경, 5.성격/흥미/가치관, 6.일자리 현황, 7.관련직업
하는 일 [귀금속세공원] -금·은 등의 귀금속을 손이나 동력공구로 세공하여 목걸이·반지 등을 제작한다.
교육/자격/훈련 관련학과 관련자격 훈련정보
  • 정확히 일치되는 학과정보가 없습니다.
  • 귀금속가공기능사, 산업기사, 기능장(국가기술)
임금/직업만족도/전망 임금 직업만족도 전망
  • 하위(25%) 3,056만원
  • 중위값 3,626만원
  • 상위(25%) 4,455만원
  • 68.9%
  • 감소 (46%)
  • 현상유지 (53%)
  • 증가 (0%)
능력/지식/환경 업무수행능력 지식 환경
  • 시력(100)
  • 정교한 동작(98)
  • 창의력(83)
  • 품질관리분석(81)
  • 선택적 집중력(81)
    디자인(99)
    상품 제조 및 공정(98)
    공학과 기술(88)
    예술(72)
    기계(59)
    균형을 유지하기(99)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98)
    소음 노출(98)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4)
    위험한 장비 노출(93)
성격/흥미/가치관 성격 흥미 가치관
    스트레스 감내성(94)
    인내(90)
    자기통제(84)
    적응성/융통성(83)
    정직성(81)
    예술형(Artistic)(96)
    현실형(Realistic)(63)
    개인지향(91)
    신체활동(74)
    심신의 안녕(64)
    자율(54)
    다양성(40)
업무활동 중요도 수준
창조적 생각(94)
전자장비 유지 보수(81)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1)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0)
자원 관리(79)
창조적 생각(92)
전자장비 유지 보수(83)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0)
기계장비 유지 보수(78)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78)
일자리 현황
귀금속·보석세공원
관련직업

필요기술 및 지식

귀금속 및 보석세공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학력이나 자격은 없다. 그러나 전문적으로 귀금속 및 보석가공 기술을 배우려면 귀금속 관련 학과에서 공부할 수있다. 전문대학 및 대학의 귀금속공예과, 보석가공과 등 관련 학과가 있으며 특성화고등학교인 “한국주얼리고등학교” 에 입학하여 진출하는 길도 있다. 또는 귀금속 가공(세공)과 관련한 사설교육기관에서 실무 위주의 교육을 받고 취업을 할 수도 있다. 이들은 금은세공업체, 귀금속가공업체, 장신구류제조업체 및 판매업체, 귀금속제품 판매업체 등에서 활동한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귀금속 및 보석세공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귀금속 및 보석은 여전히 호화사치품으로 여겨져 정부가 개별소비세(개별소비세는 특정한 물품, 특정한 장소에 입장 행위, 특정장소에서 유흥음식 행위 및 특정한 장소에서의 영업행위에 부과되는 소비세를 의미한다.)를 부과하는 등 소비가 억제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거기에 그간 기계화와 자동화가 꾸준히 이루어졌고 최근 CAD프로그램 활용과 3D프린터 등의 사용이 점점 확대될 것으로 보여 고용에 부정적이다. 더욱이 중국과의 FTA체결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약화되어 국내업체의 생산시설 이전의 가능성도 보인다. 그럼에도 주얼리 산업구조가 캐스팅에 의한대량생산에서 디자인 중심의 다품종소량생산으로 변화되면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핸드메이드 기능인력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으며 주얼리를 하나의 문화상품으로 여겨지는 추세도 강화되고 있어 일자리 확대가 기대된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에 의하면 귀금속 및 장식용품 사업체 수는 2010년까지 감소하였다가 지난 4년(2010~2014년)다시 증가하고 있고 종사자 수는 2008년에 7,844명이던 것이 2012년에는 8,507명, 2014년에는 9,695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고용증가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저임금과 열악한 작업환경 등으로 청년층의 입직 기피 현상까지 발생하여 양질의 인력수급이 어려울 것으로 보여 개선이 요구된다.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감소 다소 감소 유지 다소 증가 증가
3% 43% 53% 0% 0%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귀금속·보석세공원’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비파괴검사원

    산업활동에 사용되는 원자력설비, 발전설비 및 구조물, 교량, 부품 등은 안전하게 제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제조공정부터 가동에 이르기까지 검사가 필요하다. 검사할 대상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대상물의 불완전성을 파악하는 것이 비파괴검사이다. 비파괴검사가 적용되는 분야는 원자력 발전소, 가스 및 중화학 플랜트, 조선·중공업, 압력용기 및 주·단조품 제작검사 등 매우 다양하다. 비파괴검사원은 방사선과 초음파 등을 이용해 검사대상물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대상물의 성질과 내부조직의 결...

  •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보석세공원

    보석세공원 (00:58) NA. 영원한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보석. 화려한 색깔과 눈부신 광택을 지닌 보석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몸을 치장할 장신구로, 때로는 권력과 부를 과시하기 위한 도구로 사랑받아 왔습니다. 그런데 이 보석을 자유자재로 다뤄 본연의 아름다움을 찾아주는 사람이 있습니다. 보석세공원, 조창희 씨를 소개합니다. (01:22) Q: 보석세공원이라는 직업은? A: 보석세공원은 금이나 은, 철같은 귀금속을 사용해 악세서리나 장식품을 제작하는 일과 천연 보석이나 합성석, 모조석 등을 용도에 맞게 연마하고 광택을 ...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이주현, 이혜나(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