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창작·공연 전문가(작가, 연극 제외) > 국악인
국악인

직무개요

오랫동안 전승되어 온 전통음악을 계승하여 부른다.

수행직무

  • 판소리, 민요, 가곡, 가사 등의 창(唱)을 부르거나, 거문고, 가야금, 향비파, 대금 등과 같은 악기를 연주한다.
  • 원활한 소리를 내기 위해 발성 연습을 한다.
  • 악보를 익히거나 악곡을 연습한다.
  • 발표회 등을 위해 리허설을 한다.
  • 청중들을 대상으로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장구, 북, 대금, 피리 등의 국악기 장단에 맞춰 가곡, 가사, 시조를 노래하거나 판소리, 민요, 창극 등을 부른다.
  • 연주단체와 함께 공연을 하거나 개인공연을 한다.
  • 작곡이나 편곡을 하기도 한다.
  • 현재 중요무형문화재로 채택되어 전승되고 있는 전통음악은 17종목으로 종묘제례악, 판소리, 농악, 거문고 산조, 선소리 산타령, 대금 정악, 가야금 산조 및 병창, 서도소리, 가곡, 가사, 대금 산조, 피리 정악 및 대취타, 서도 들노래, 경기민요, 향제 줄풍류, 농요 등이 있다.

관련직업

‘국악인’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국악인 및 전통예능인

    국악인 및 전통예능인은 오랫동안 전승되어 온 우리나라 전통음악이나 무용, 연극, 각종 놀이와 의식 등을 계승하고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예술활동을 한다. 국악인은 거문고, 가야금, 해금과 같은 국악기를 연주하거나 판소리, 민요를 부르면서 국악의 맥을 잇는다. 보통 전문 분야에 따라 국악연주가, 국악성악가, 국악작곡 및 편곡가 등으로 불린다. 국악연주가는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장구 등의 국악기로 국악을 연주하거나 창작국악을 연주한다. 연주단체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 정기·비...

  • 테마별 찾기

    국악인

    유네스코는 국제연합 전문기구 중 하나로, 국가 간 교육·과학·문화의 보급 및 교류를 통해 이해를 넓히고 협력을 돈독히 하여 국제 평화와 안전을 도모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유네스코는 가치 있고 독창적인 구전 및 무형유산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인류가 창조한 위대한 문화유산의 보존과 재생을 위해 전 세계인이 관심을 갖고 노력하자는 것이 취지입니다. 2001년 유네스코가 처음 19개 유산을 지정했을 때, 우리의 국악 중 ‘종묘제례악’도 당당히 이름을 올렸습니다. 장엄하면서도 엄숙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이주현, 이혜나(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