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무역·운송·생산·품질 사무원 > 무역사무원
무역사무원

임금

무역사무원 하위(25%) 3,154만원, 중위값 3,684만원, 상위(25%) 3,989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무역사무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1.2%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현 상태 유지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무역사무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역사무원의 업무는 수출입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경기의 영향을 받는 직업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 세계무역기구(WTO) 다자간 협정,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확산 등 우리나라 경제의 대외무역의존도는 꾸준히 증가해 왔기 때문에 대내외 환경에 따라서 무역사무원의 고용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최근 들어 글로벌 경기 부진과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한 불확실성 확대, 보호무역주의 등 대내외 환경이 변화하면서 무역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 경제의 불황이 장기화되고, 수출입 실적이 하락한다면 무역사무원의 일자리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2022년 2월에 발효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하나의 자유무역지대로 통합하는 ‘아세안+6’ FTA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10개국과 한?중?일 3개국, 호주?뉴질랜드 등 15개국이 참여한 협정)이 실효성을 거두고, 현재 협상 중인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된다면 무역사무원의 고용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또한 다른 국가에는 없는 자체적인 기업규제가 국가 간 무역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어서 이에 대한 규제가 완화된다면 관련 분야 활성화와 인력 채용 확대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전자상거래가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면서 온라인을 통한 수출(역직구) 및 수입(직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의 「온라인쇼핑동향조사」와 관세청의 「전자상거래물품 반입동향」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해외직구 규모는 큰 폭으로 증가해왔다.

연도별 수출입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2012년~2022년의 수출입 규모
연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수출 547,870 559,632 572,665 526,757 495,466 573,697 604,860 542,233 512,498 644,400 683,585
수입 519,584 515,585 525,515 436,499 406,193 478,478 535,202 503,343 467,633 615,093 731.370

자료 :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정보시스템

연도별 온라인쇼핑 해외직접구매액 규모

(단위 : 백만 원)

2015년~2022년의 온라인쇼핑 해외 직접구매액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금액 1,701,384 1,907,882 2,243,583 2,971,702 3,636,049 4,067,719 5,115,211 5,323,978

자료 : 통계청, 온라인쇼핑동향조사

연도별 전자상거래물품 반입 동향

(단위 : 천 건, 천 달러)

2015년~2022년의 전자상거래품 반입 건수 및 금액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건수 15,842 17,395 23,592 32,255 42,988 63,575 88,380 96,120
금액 1,521,226 1,634,540 2,110,240 2,754,944 3,143,211 3,753,758 4,658,358 4,724,711

자료 : 관세청, 전자상거래물품반입동향

온라인 거래 발달로 인한 개인의 해외직구 증가는 중간에서 무역을 담당하는 업체와 무역사무원의 고용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요즘은 기업과 소비자 간(B2C)의 거래뿐만 아니라 기업 간(B2B) 직구가 활성화되면서 무역을 담당하는 업체를 거치지 않고 거래를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인터넷 등의 발달로 인해 과거보다 바이어와 업체를 찾는 것이 쉬워지면서 기업에서 직접 구매하는 경우가 늘어났으며, 이로 인해 무역회사의 규모는 예전보다 줄어들 수 있다.

종합하면, 최근 몇 년간 글로벌 경기 부진, 보호무역주의 등으로 인해 무역량이 감소하고, 전자상거래 발달로 인해 무역업체를 통하지 않고 직접 거래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지만, 다양한 국가와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으로 무역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향후 10년간 무역사무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작성, 2023년 수정)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과학기술의 발전 -
  • 온라인 거래의 발달로 인해 기업과 소비자 간(B2C) 및 기업 간(B2B) 직구 활성화
국내외 경기 변화 -
  • 글로벌 경기 부진, 보호무역주의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다양한 국가와의 자유무역협정(FTA)
  • 기업에 대한 규제 완화
-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무역사무원’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무역사무원

    무역사무원은 해외 수출입 계약거래 등 무역 사무 전반에 관한 업무를 처리한다. 주로 무역 절차의 흐름을 파악하여 수출입 거래에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정리하고, 계약상 필요한 서류 등을 작성하며 거래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를 정리한다. 무역사무원은 수출 시 수출 대상기업과의 계약서를 작성하게 되는데, 계약내용(거래금액, 수출 수량, 단가, 수송수단, 납기, 보험, 결제방법 등)을 계약서의 형식이나 법규에 따라 문서로 작성 한다. 수입을 할 때에도 수출과 마찬가지로 수입대금의 결제,...

  •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대상별 찾기

    무역사무원

    수출입 계약 거래 등에 관한 전반적인 사무 처리

  • 이색직업별 찾기

    원산지관리사

    FTA 관련 컨설팅, 원산지 판정과 원산지증명서 발급을 돕는 일, 원산지증명시스템 구축사업을 수행한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