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특수교육교사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수교육교사는 특수학교 등에서 신체적?정신적으로 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의 개인적 욕구, 능력, 학습수준, 신체조건 등을 고려한 교육을 한다. 특수교육교사는 교과 학습지도는 물론 일상생활 전반에 관한 훈련, 건강관리, 직업을 갖기 위해 필요한 교육 등에도 관여한다. 의학 기술의 발달로 장애 조기 발견과 진단이 가능해지고, 2008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제정으로 법적 장애 범주가 확대되면서 특수교육 대상자가 늘고 있다. 장애영아 무상교육 실시, 장애인식 개선사업 확대, 통합 교육을 원하는 학부모의 요구 등으로 특설학교의 신설과 일반 학교의 특수학급 증설이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정부는 개인별 복지 수요를 고려한 맞춤 계획을 수립한 후 장애인에게 직접 예산을 지원하는 ‘장애인 개인예산제’ 시행을 통해 장애인 권리보장을 강화해 나가고3), 장애아 전문 통합 어린이집과 유치원, 성인 발달장애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주간 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대책을 세우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은 특수교육 교사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도 크게 진전되고 있다. 장애인의 인권을 보장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려는 사회적 분위기의 변화는 특수교육에 대한 반감을 감소시키고 있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인식개선과 정부의 특수교육 대상 범위 확대에 따라 정부의 특수교육 정책과 장애공감 문화 확산 등으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은 10년 전인 2013년 8만 6,633명에 비해 2023년 현재 10만 9,703명으로 약 26.6%p 증가하였으며(교육부, 「특수교육통계」), 이는 특수학교 설립과 특수교사 증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지속적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면서 장기적으로는 특수학교 학생 수 역시 줄어들어 이는 특수교육교사 채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종합하면, 저출생에 따라 학령인구가 감소하고 있지만, 장애인 복지에 대한 인식개선, 장애 조기 발견 및 진단 가능 기술 발전, 특수학교 신설 증가 및 학급당 학생 수 감소 정책과 장애종별, 장애 정도에 따른 교육 지원 요구에 대한 정책 반영 등의 영향으로 향후 10년간 특수교육교사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3) 尹정부, 내년 '장애인 개인예산제' 시범 운영(파이낸셜 뉴스, 2023. 03)
https://www.fnnews.com/news/202303091527197047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특수학교교사는 특수학교, 일반학교 특수학급, 특수교육지원센터 등에서 근무하는 선생님 을 말한다. 특수학교 장애학생들이 교과지식과 바른 인성과 품행을 갖도록 지도한다. 특수학교교사는 교과 학습지도와 생활지도는 물론 일상생활 전반에 관한 훈련, 건강관리, 직업을 갖기 위해 필요한 교육 등에도 관여한다. 특수학교교사(특수교사)는 장애가 있어 특수한 교육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을 가르치고 돌보는 교사로, 교과 학습지도와 생활지도는 물론 일상생활 전반에 관한 훈련, 건강관리, 직업을 갖기 ...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