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영화시나리오작가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화시나리오작가는 영화를 제작하기 위하여 창작 글을 쓰거나 문학작품의 내용을 각색하여 시나리오(대본)를 쓴다. 영화산업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2020년 영화산업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매출액 모두 가파르게 하락한 후 2021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영화 수출액은 2015년 2만 9,374천 달러에서 2020년 5만 1,290달러로 약 75% 증가하였으며 부가가치율도 2015년 33.5% 대비 2020년 34.0%로 큰 변동이 없다. 한국 영화의 극장 티켓파워와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 Over The Top)의 성장, 한류 문화의 확산에 따라 영화산업은 앞으로도 계속 유지될 전망이다.
영화산업 통계
구분 | 사업체 수 (개) |
종사자 수 (명) |
매출액 (백만 원) |
부가가치액(백만 원) | 부가가치율(%) | 수출액 (천 달러) |
수입액 (천 달러) |
---|---|---|---|---|---|---|---|
2015 | 1,111 | 30,100 | 5,112,219 | 1,714,319 | 33.5 | 29,374 | 61,542 |
2016 | 1,398 | 28,974 | 5,256,081 | 1,779,514 | 33.9 | 43,894 | 44,838 |
2017 | 1,409 | 29,546 | 5,494,670 | 1,742,698 | 31.7 | 40,726 | 43,162 |
2018 | 1,369 | 30,878 | 5,889,832 | 2,676,595 | 45.4 | 41,607 | 36,274 |
2019 | 1,223 | 32,566 | 6,432,393 | 1,354,550 | 21.1 | 37,877 | 38,432 |
2020 | 916 | 10,497 | 2,987,075 | 1,015,512 | 34.0 | 51,290 | 28,330 |
2021 | 1,034 | 13,240 | 3,246,109 | 1,143,769 | 35.2 | 39,763 | 37,897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2021 기준 콘텐츠산업 조사」(2023)
우리나라 국민의 영화에 대한 애정이 상당한 데다가, 여가 선용 차원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수요가 유지되면서 영화제작도 계속될 전망이다. 콘텐츠 소비자 측면에서 장르와 콘텐츠에 특정 마니아층이 생겨나면서 영화시나리오에서도 특정 분야 전문가의 입지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영화산업의 규모는 커지고 있지만, 제작 투자 감소로 사업체도 줄고 종사자 수 유입도 활발하지 않다. 영화시나리오작가는 산업 규모 대비 그 수가 매우 적다. 영화사가 감독과 작가의 직무를 분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영화감독이 작가를 겸하는 경우도 흔해 일자리 증가를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영화시나리오작가의 작업을 대체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으나 창의성과 감성을 중시하는 작업 특성상 영화시나리오작가 일자리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종합하면, 영화시나리오작가는 영화 및 영상 콘텐츠 선호와 영화산업 성장, 영화 수출 증대가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산업 규모 대비 그 수가 적고, 영화제작 투자가 감소하여 향후 10년간 영화시나리오작가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문학작가는 작품을 집필하여 각종 문예지와 잡지, 신문 등에 발표하거나 책으로 엮어 출판하는 일을 한다. 소설, 시, 수필, 평론 등의 문학작품을 만들어내며, 자신의 주력 장르에 따라 소설가, 시인, 수필가, 평론가 등으로 불린다. 소설가는 소설의 줄거리나 등장인물을 결정하고 필요한 경우 역사적 배경이나 사건 현장을 조사·분석하여 작품에 반영한다. 수필가는 사물, 현상에 대한 느낌, 작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유로운 문장형식으로 자신의 정서를 표현한다. 시인은 자연, 인생 등...
테마별 찾기
국내 순수 애니메이션 ‘라바’가 2014년에 이어 2016년에도 TV 방송 최고의 권위를 가진 에미상 후보에 선정되었습니다. 국산 애니메이션 캐릭터라고는 '로보트태권V' 밖에 없었던 것을 떠올리면 국내 애니메이션 캐릭터 산업의 발전은 경이로울 정도입니다. 이는 다양한 콘텐츠 기획과 제작을 통해 글로벌 진출에 성공한 결과로 이젠 국제무대에서도 인정받을 만큼 그 위상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라바’는 2009년 개발한 순수 국내 캐릭터로 애벌레인 옐로우와 레드의 좌충우돌 에피소드를 담은 3D 애니메이션입니다. 아이부터 어른까지 전 연...
“작가라고 하면 왠지 교과서에 나오는 ‘고뇌하는 예술가’의 이미지가 떠오를 때가 많지만, 사실 우리는 일상에서 수많은 작가들을 접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해리포터 시리즈를 읽고 자랐고, 예능 프로그램을 보고 웃으며, 미니시리즈 드라마를 보면서 다음 주가 빨리 오기를 기다립니다. 그때마다 소설작가, 방송작가, 드라마작가와 만나고 있는 거예요. 작가가 없다면 우리의 삶은 너무 지루하겠죠? 그래서 영국은 오만하게도 ‘식민지 인도를 잃더라도 셰익스피어와 바꾸지 않겠다’고했는지도 모릅니다.”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