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작가·통번역가 > 방송작가
방송작가

임금

방송작가 하위(25%) 3,471만원, 중위값 4,000만원, 상위(25%) 4,558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방송작가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7%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다소감소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방송작가의 일자리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방송작가는 방송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대본을 작성한다. 방송작가는 크게 단막드라마, 연속드라마 대본을 작성하는 드라마작가와 다큐멘터리, 교양, 쇼, 오락, 코미디, 라디오 등의 프로그램 대본을 작성하는 구성작가로 구분된다. 인터넷 미디어가 다양해지고 발전함에 따라 지상파방송, 유선방송을 비롯한 방송산업이 위축되고 있어 방송작가의 취업자 수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방송산업 매체별 사업자 수

(단위 : 개소)

방송산업 매체별 사업자 수로 연도별 전체사업자 수, 지상파방송, 유선방송, 위성방송, 방송채널 사용방법, IPTV, IPTV 콘텐츠 제공(CP) 항목으로 구성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전체 사업자 수 435 403 423 420 404 399 401
지상파방송 71 71 70 70 70 69 68
유선방송 143 139 136 132 123 119 113
위성방송 1 1 1 1 1 1 1
방송채널 사용사업 191 164 169 172 171 174 180
IPTV 3 3 3 3 3 3 3
IPTV 콘텐츠 제공(CP) 26 25 44 42 36 33 36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 「2020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2022)

방송산업 직종별 종사자 수

(단위 : 명)

방송산업 직종별 종사자 수로 연도별 전체, 임원, 경영직, 방송직(기자, PD, 아나운서, 제작관련, 기타), 기술직, 연구직, 영업홍보, 기타 항목으로 구성
구분 전체 임원 경영직 방송직 기술직 연구직 영업홍보 기타
기자 PD 아나운서 제작관련 기타
2015 35,096 771 5,578 3,992 4,724 730 4,766 1,855 4,215 404 5,439 2,622
2016 35,992 763 5,926 4,000 4,628 717 4,745 2,105 4,362 432 5,392 2,922
2017 36,815 809 6,120 4,225 4,822 708 4,843 2,021 4,243 503 6,048 2,473
2018 37,288 744 6,053 4,074 4,921 694 4,884 2,197 4,239 965 6,245 2,272
2019 37,553 540 6,010 4,057 4,935 678 4,849 2,051 4,290 469 6,206 3,210
2020 37,133 552 6,016 3,864 4,831 661 4,807 1,668 4,622 555 6,774 2,532
2021 36,592 537 5,867 3,918 4,861 639 4,637 1,564 4,784 548 5,914 3,074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각 연도)
주1) 방송직의 ‘경영직’은 인사, 재무/회계, 기획, 경영, 관리 등의 사무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인원(2013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관리/행정직’의 명칭 변경)
주2) 방송직의 제작 관련에는 카메라, 영상, 음향, 조명, 미술, 편집, 출연자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이 포함된다.
주3) 방송직의 기타에는 성우, 작가, 리포터, 제작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이 포함된다.
주4) 통계 기준은 각 연도 12월.

방송사업자 수는 2015년에 435개에서 2021년 401개로 감소 추세이며, 방송작가가 포함된 방송직 기타의 종사자 수는 2018년 이후 꾸준한 감소추세에 있다.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이 경쟁적 구조를 갖추면서 제작 방송프로그램 수가 늘어나며 방송작가의 수가 증가했던 현상이 정체 상태에 이르렀다. 개인이 콘텐츠가 되는 인터넷 방송이 늘어남에 따라 공중파 및 유선 방송에 관한 관심이 떨어지고 있으며, 라디오 프로그램의 감소도 방송작가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종합하면, 인터넷 미디어가 다양화되고, 개인 인터넷 방송이 활성화됨에 따라 공중파 및 유선 방송, 라디오에 관한 관심이 줄고 있어, 향후 10년간 방송작가의 일자리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인터넷 미디어 다양화
  • 공중파, 유선방송, 라디오 등 관심 감소
과학기술의 발전 - -
국내외 경기 변화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방송 사업체 수 감소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개인 인터넷 방송 활성화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방송작가’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작가

    문학작가는 작품을 집필하여 각종 문예지와 잡지, 신문 등에 발표하거나 책으로 엮어 출판하는 일을 한다. 소설, 시, 수필, 평론 등의 문학작품을 만들어내며, 자신의 주력 장르에 따라 소설가, 시인, 수필가, 평론가 등으로 불린다. 소설가는 소설의 줄거리나 등장인물을 결정하고 필요한 경우 역사적 배경이나 사건 현장을 조사·분석하여 작품에 반영한다. 수필가는 사물, 현상에 대한 느낌, 작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유로운 문장형식으로 자신의 정서를 표현한다. 시인은 자연, 인생 등...

  • 테마별 찾기

    문학작가

    “작가라고 하면 왠지 교과서에 나오는 ‘고뇌하는 예술가’의 이미지가 떠오를 때가 많지만, 사실 우리는 일상에서 수많은 작가들을 접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해리포터 시리즈를 읽고 자랐고, 예능 프로그램을 보고 웃으며, 미니시리즈 드라마를 보면서 다음 주가 빨리 오기를 기다립니다. 그때마다 소설작가, 방송작가, 드라마작가와 만나고 있는 거예요. 작가가 없다면 우리의 삶은 너무 지루하겠죠? 그래서 영국은 오만하게도 ‘식민지 인도를 잃더라도 셰익스피어와 바꾸지 않겠다’고했는지도 모릅니다.”

  • 대상별 찾기

    방송작가

    학력보다는 감각과 센스가 필요한 직업

  • 이색직업별 찾기

    화면해설작가

    화면해설작가는 시각장애인들이 영상물의 움직임이나 상황 등 시각적인 정보를 제대로 이해하도록 각각의 장면들을 실감나게 묘사한 대본을 작성하는 전문작가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