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사서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서는 도서관에서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서적, 정기간행물, 시청각 자료 등을 수집하고 일정 기준에 의거하여 분류, 정리, 보관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정보화 사회를 맞아 평생교육의 수요가 증가하고, 공공도서관의 편의성이 크게 개선되면서 이용객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정부에서도 공공도서관을 확충하고, 사서직 전문 인력의 충원과 도서관 협력시스템 구축 등 공공도서관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기존 도서관이 없는 지역의 주민들이 공공도서관 건립을 요구하고 있고, 신도시 및 도시재생개발 사업 등의 일환으로 도시계획이 이뤄지면서 공공도서관 신설이 확충되고 있어 사서의 수요는 지속될 전망이다. 문화체육관광부의 「2022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에 따르면, 2022년 국립도서관은 4개, 공공도서관은 1,208개로 국공립도서관은 2015년에 비해 281개(30.2%) 증가하여, 연도별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 문화기반시설 연도별 현황
(단위 : 개소)
구분 | 총계 | 국립 도서관 | 공공 도서관 | 박물관 | 미술관 | 생활 문화센터 | 문예회관 | 지방문화원 | 문화의집 |
---|---|---|---|---|---|---|---|---|---|
2015 | 2,519 | 1 | 930 | 809 | 202 | - | 232 | 229 | 116 |
2016 | 2,595 | 1 | 978 | 826 | 219 | - | 229 | 228 | 114 |
2017 | 2,657 | 1 | 1,010 | 853 | 229 | - | 236 | 228 | 100 |
2018 | 2,749 | 1 | 1,042 | 873 | 251 | - | 251 | 231 | 100 |
2019 | 2,825 | 3 | 1,096 | 881 | 258 | - | 255 | 231 | 101 |
2020 | 3,017 | 3 | 1,134 | 897 | 267 | 129 | 256 | 230 | 101 |
2021 | 3,087 | 4 | 1,172 | 900 | 271 | 147 | 262 | 230 | 101 |
2022 | 3,145 | 4 | 1,208 | 909 | 285 | 173 | 267 | 231 | 68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2022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2022)
주1) 2019년부터 국립도서관(국회도서관, 법원도서관) 2개관, 2021년부터 국립도서관(국립장애인도서관) 1개관을 통계에 포함
주2) 2019년부터 국립도서관(국회도서관, 법원도서관) 2개관, 2021년부터 국립도서관(국립장애인도서관) 1개관을 통계에 포함
공공도서관 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사서의 일자리는 한정되어 있고, 인력을 추가로 늘리기보다는 1인당 소장자료나 관람 인원수를 높이는 경향이 있어서 사서 고용의 양적 확대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원 총량제, 예산 제약 때문에 도서관 확충에 비례한 인력 증가가 어렵고, 도서관에서의 자료 검색?열람 등이 전산화되면서 최소 인원을 고용하는 점은 사서의 일자리 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사서가 전문직으로 인정받으면서 대학의 관련 학과에 진출하거나 사서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사람이 늘고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임금이 높고 신분이 안정적인 국공립도서관의 사서직 공무원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공공 분야의 취업 경쟁률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도서관은 단순 정보를 제공하는 장소에서 벗어나 종합적인 ‘정보문화센터’로 변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서가 음악, 예술, 전시, 교육 등 문화 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서 전통적인 업무 외에 서비스마인드 및 전문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용객의 수준 높은 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는 주제 전문 사서로서의 역량을 개발하는 등 직무 변화에 따른 경력개발이 요구된다.
종합하면, 공공도서관의 신규 건립과 정보문화센터로서의 역할 확대, 사서의 업무의 중요성 증대 등이 기대되지만, 인원 총량제, 예산 제약 때문에 도서관 확충에 비례한 인력 증가가 어려우므로 향후 10년간 사서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주로 국공립도서관, 초중고등학교 도서관, 대학도서관, 기업체 자료실 및 의학도서관, 법학도서관 등의 전문도서관과 장애자를 위한 점자도서관, 환자들이 이용하는 병원도서관, 군인을 위한 병영 도서관, 재소자들이 이용하는 교도소도서관에서도 근무한다. 특히 국공립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는 사서직 공무원에 해당한다. 사서가 하는 일은 근무하는 도서관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국공립도서관 등 비교적 규모가 큰 도서관의 경우 자료수집, 장서관리, 이용자 서비스 등을 담당하...
테마별 찾기
약 2,000년 전의 사람들을 떠올리면 어떤 생각이 드나요? 스마트폰으로 몇 초 만에 온갖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최첨단 세상에 산다는 자부심으로, 그 시대 사람들은 미개했을 거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입니다. 우리가 중고등학교 때 배우는 도형에 관련한 복잡한 이론은 유클리드가 정리한 것이고,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둘레를 거의 정확하게 쟀습니다. 간단한 논리적 사고를 이용해서 말이죠. 무려 2,000년도 더 전에! 그런데 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있는 대도서관에서 연구했다는 것이에요. 이곳은 책 수십만...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사서 (00:03) NA. 독서의 계절을 맞아 찾은 이곳은 서울에 위치한 공공도서관. 한강이 한눈에 보이고 자연과 맞닿은 이곳에 오늘의 주인공이 있다는데..오늘의 주인공! 어디계시나요? 쉿! 아~ 여기 도서관이지? 이희정 / 사서 : "안녕하세요. 사서 이희정입니다. " Q: 사서란? 이희정 / 사서 : 사서는 도서관에서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다양한 정보자료를 수집, 정리, 분류, 보관하는 업무를 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런 전통적인 도서 관리 업무 외에도 문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면서 지역사회와 주민, 도서관과 주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