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디자이너 > 의상디자이너
의상디자이너

임금

의상디자이너 하위(25%) 3,315만원, 중위값 3,970만원, 상위(25%) 4,662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의상디자이너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6.6%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현 상태 유지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의상디자이너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의상디자이너는 시장조사와 패션 경향을 예측하여 성별, 연령별, 기능별로 각종 의상을 디자인하고 견본품을 제작하는 일을 한다. 의상디자이너의 일자리는 국내 패션시장의 성장 추이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 과거 20여 년간 성장해온 국내 패션 시장이 이제는 저성장기로 진입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의「2022 korea fashion market trend」에 따르면, 2016년 34조 1,276억 원이던 의류시장 규모는 2021년 33조 9,226억 원으로 정체 상태에 있을 볼 수 있다.

패션시장 세분 시장별 시장 규모 추이

(단위 : 원)

패션시장 세분 시장별 시장 규모 추이로 연도별 의류(남성정장, 여성정장,캐주얼복, 스포츠복, 내의, 아동복, 소계) 및 소품(신발, 가방, 소계), 패션시장 합계 항목으로 구성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의류 남성정장 4조 5,816억 4조 2,628억 4조 2,013억 4조 582억 3조 8,810억 4조 4,536억
여성정장 3조 7,705억 3조 2,010억 3조 4,419억 2조 9,753억 2조 6,677억 3조 850억
캐주얼복 14조 5,202억 15조 743억 15조 3,859억 15조 6,054억 15조 6,056억 17조 4,029억
스포츠복 7조 5,208억 7조 1,122억 7조 4,722억 6조 6,544억 5조 9,801억 5조 7,896억
내의 2조 4,258억 2조 1,437억 2조 2,070억 2조 1,074억 2조 1,076억 2조 668억
아동복 1조 3,087억 1조 2,346억 1조 2,206억 1조 659억 9,120억 1조 1,247억
소계 34조 1,276억 33조 286억 33조 9,289억 32조 4,666억 31조 1,540억 33조 9,226억
소품 신발 6조 4,191억 6조 6,344억 6조 4,076억 6조 2,430억 6조 1,051억 6조 6,681억
가방 2조 6,340억 2조 8,074억 2조 8,816억 2조 9,345억 3조 638억 2조 9,385억
소계 9조 531억 9조 4,418억 9조 2,892억 9조 1,775억 9조 1,689억 9조 6,066억
패션시장 합계 43조 1,807억 42조 4,704억 43조 2,181억 41조 6,441억 40조 3,229억 43조 5,292억

자료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2022 korea fashion market trend」(2022)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의류 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 해외 브랜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해외 브랜드의 국내 진출이 크게 늘었고, 해외직구 등을 통해 국내 소비자들이 해외 브랜드 의류를 쉽게 구매할 수 있게 되면서 국내 패션업계는 해외 브랜드와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향후에는 디자인뿐만 아니라 상품기획과 마케팅 역량, 외국어 능력을 갖춘 디자이너 수요가 커질 전망이다.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의류 구매가 늘어나면서, 온라인 쇼핑몰이나 개별 브랜드를 창업하는 의상디자이너가 더욱 증가할 것이다. 실제 온라인 쇼핑몰을 중심으로 중저가 쇼핑몰이 성장하고, 많은 업체들이 해외 진출을 활발히 하고 있다. 따라서 온라인 유통 비중이 높은 신진 패션업체를 중심으로 의상디자이너의 활동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패션 대기업의 경우, 브랜드를 축소하거나 통합하고 있고, 생산공장을 해외로 이전하고 있어 신규 고용의 확대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기업은 경력직 의상디자이너를 위주로 채용하는 경향이 지속될 전망이어서 신규 인력의 입직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자신의 브랜드를 만들어 창업하는 신진 디자이너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용적인 제품을 찾는 소비자의 욕구가 꾸준하고, 과학기술 발전으로 기능성 의류 및 웨어러블 섬유 제품에 대한 개발 및 소비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은 의상디자이너에 대한 수요 증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의상디자이너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 사설 교육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인력이 많고, 반면에 노동시장에서 인력 수요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의상디자이너로 신규 진입해서 입지를 다지기 위해서는 치열한 경쟁이 필요하다.

종합하면 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해외 브랜드 선호, 유통구조 변화 등에 따른 패션산업 변동으로 의상디자이너 고용이 증감하는 영역이 혼재하면서 향후 10년간 의상디자이너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작성, 2023년 수정)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개인의 개성 표현 중시
  • 해외 패션 브랜드 선호
과학기술의 발전
  • 기능성 의류 및 섬유 개발 및 수요 증가
-
국내외 경기 변화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패션 브랜드 축소 및 통합
  • 생산공장의 해외 이전
  • 경력직 디자이너 선호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온라인 쇼핑몰 및 개별 브랜드 창업 증가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의상디자이너’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패션디자이너

    패션디자이너는 양복, 양장, 한복, 남성복, 여성복, 아동복, 캐주얼, 유니폼, 평상복, 정장 등 각종 의류와 의상액세서리, 가방, 신발 등을 디자인하고 견본품을 제작하는 업무를 한다. 패션디자인은 크게 의상디자인과 패션소품디자인으로 구분된다. 의상디자인은 양장과 한복으로 분류되며, 성별·나이에 따라 남성복, 여성복, 캐주얼, 아동복으로, 옷의 용도에 따라 유니폼, 운동복, 평상복, 정장 등으로 세분된다. 의상디자이너는 의류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자신만의 전문 분야를 가지고 활동...

  • 테마별 찾기

    에코패션디자이너

    세계적인 스타 비틀즈의 멤버, 폴매카트니의 딸 스텔라 매카트니(Stella McCartney)는 에코패션디자이너로 명성을 떨치고 있어요. 스텔라 매카트니는 채식주의자로서 그녀의 패션에는 동물 가죽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요. 에코 디자인으로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개념 있는 그녀의 컬렉션들은 대성공을 거두고 있답니다. 또 다른 영국의 유명한 에코패션디자이너 이메샤(Emesha)는 최신 유행에 맞춰 빠르게 유통되는 패스트 패션이 궁극적으로는 환경을 나쁘게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질이 좋고 오래 입을 수 있는 옷을 만드는 것...

    패션디자이너

    패션디자이너, 옷을 디자인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사람들을 자유롭게도 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샤넬. 값비싼 명품의 대명사이지만 역사상 가장 유명한 패션디자이너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코코 샤넬, 그녀는 패션을 디자인함으로써 여성들의 생활양식까지 새롭게 디자인한, 혁신적인 사람이었어요. 샤넬 이전, 멋 좀 낸다하는 여성들은 코르셋으로 숨이 막힐 정도로 허리를 꽉 조이고, 땅에 질질 끌리는 치마를 입고, 손에는 손가방을 쥐고 다녔죠. 그녀들에게 멋스러우면서도 편안한 차림이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패션디자이너 샤넬은 ‘샤넬 라...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반려동물패션디자이너

    인간의 반려동물로 당당히 자리잡은 애완동물! 최근 애완동물 시장이 커지면서 자신이 키우는 동물에게 보다 예쁜 옷을 입히고 싶은 주인들의 욕망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패션디자이너는 애견옷을 제작하기 위해 애견의 사이즈를 재고, 아이템을 결정하여 디자인을 합니다.

    패션테크니컬디자이너

    패션테크니컬디자이너는 디자이너가 완성한 스케치가 고객이 요구하는 핏과 품질수준을 갖춘 의복 제품으로 완성되도록 돕는 의복 생산 공정 디렉터이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