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디자이너 > 의상디자이너
의상디자이너
[직업정보 요약] 1.하는 일, 2.교육/자격/훈련, 3.임금/직업만족도/전망, 4.능력/지식/환경, 5.성격/흥미/가치관, 6.일자리 현황, 7.관련직업
하는 일 시장조사와 패션경향을 예측하여 성별, 연령별, 기능별로 각종 의상을 디자인한다.
교육/자격/훈련 관련학과 관련자격 훈련정보
  • 섬유디자인산업기사(국가기술)
  • 의류기사(국가기술)
  • 패션디자인산업기사(국가기술)
  • 한복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임금/직업만족도/전망 임금 직업만족도 전망
  • 하위(25%) 3,315만원
  • 중위값 3,970만원
  • 상위(25%) 4,662만원
  • 76.6%
  • 감소 (43%)
  • 현상유지 (53%)
  • 증가 (3%)
능력/지식/환경 업무수행능력 지식 환경
  • 창의력(97)
  • 시력(91)
  • 협상(83)
  • 정교한 동작(69)
  • 행동조정(68)
    디자인(100)
    예술(86)
    상품 제조 및 공정(81)
    영업과 마케팅(68)
    인사(58)
    갈등 상황(99)
    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3)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1)
    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88)
    전화 대화하기(88)
성격/흥미/가치관 성격 흥미 가치관
    혁신(92)
    적응성/융통성(80)
    꼼꼼함(74)
    성취/노력(72)
    협조(57)
    예술형(Artistic)(98)
    진취형(Enterprising)(82)
    인정(90)
    자율(89)
    경제적 보상(87)
    이타(85)
    타인에 대한 영향(85)
업무활동 중요도 수준
창조적 생각(100)
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94)
팀 구성, 협업 촉진(93)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2)
정보 수집(91)
창조적 생각(99)
대인관계 유지(93)
팀 구성, 협업 촉진(93)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2)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0)
일자리 현황
의상디자이너
관련직업

필요기술 및 지식

패선디자이너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의상디자인학, 패션디자인학, 의류(의상)학 등을 전공하거나 사설 디자인학원, 교육기관을 통해 패션디자인, 의류제작 등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아야 한다.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경우 입학 시 학과에 따라 실기시험을 치르는 곳이 있으며, 교육과정에 복식사, 의복재료론, 의상심리학, 코디네이션기법 등의 이론과 의상디자인에 대한 실기가 포함되어 있다. 상품으로서의 의상을 팔기 위한 전략을 배우기 위해 마케팅, 머천다이징 관련 교과목도 포함되어 있다. 사설 교육기관의 경우, 의상디자인과 관련한 교육과정이 세분되는 추세이며, 6개월~3년까지 교육기간도 과정별로 다양하다. 이외에 평소 패션쇼, 패션 관련 잡지 등을 즐겨보면서 패션 감각과 안목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주로 의류회사, 섬유회사, 개인 의상실 등으로 진출하며 자신이 직접 의상실을 경영하기도 한다. 의류업체에서의 경험을 살려 수입의류 브랜드의 머천다이저(MD, 상품기획자)로 진출하거나 패션 감각을 살려 스타일리스트로 진출할 수 있고, 자신만의 브랜드를 내건 의류업체나 의류 관련 온라인 쇼핑몰을 창업할 수 있다. 규모가 큰 의류업체의 경우, 대부분 관련 전공의 대학교 졸업 이상인 자를 중심으로 채용하는 편이다. 회사에 따라 정식직원으로 채용되기 전 일정 기간 디자이너가 지녀야 할 자질과 능력을 평가하는 인턴제를 시행하기도 하며, 실무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연수제를 운용하기도 한다. 채용은 공개채용이나, 교육기관 및 교수에 의한 추천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서류전형, 필기시험, 포트폴리오, 면접 등을 거쳐 채용하는데, 대기업일수록 채용전형이 어렵고 까다로운 편이다.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의상디자이너’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패션디자이너

    패션디자이너는 양복, 양장, 한복, 남성복, 여성복, 아동복, 캐주얼, 유니폼, 평상복, 정장 등 각종 의류와 의상액세서리, 가방, 신발 등을 디자인하고 견본품을 제작하는 업무를 한다. 패션디자인은 크게 의상디자인과 패션소품디자인으로 구분된다. 의상디자인은 양장과 한복으로 분류되며, 성별·나이에 따라 남성복, 여성복, 캐주얼, 아동복으로, 옷의 용도에 따라 유니폼, 운동복, 평상복, 정장 등으로 세분된다. 의상디자이너는 의류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자신만의 전문 분야를 가지고 활동...

  • 테마별 찾기

    에코패션디자이너

    세계적인 스타 비틀즈의 멤버, 폴매카트니의 딸 스텔라 매카트니(Stella McCartney)는 에코패션디자이너로 명성을 떨치고 있어요. 스텔라 매카트니는 채식주의자로서 그녀의 패션에는 동물 가죽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요. 에코 디자인으로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개념 있는 그녀의 컬렉션들은 대성공을 거두고 있답니다. 또 다른 영국의 유명한 에코패션디자이너 이메샤(Emesha)는 최신 유행에 맞춰 빠르게 유통되는 패스트 패션이 궁극적으로는 환경을 나쁘게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질이 좋고 오래 입을 수 있는 옷을 만드는 것...

    패션디자이너

    패션디자이너, 옷을 디자인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사람들을 자유롭게도 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샤넬. 값비싼 명품의 대명사이지만 역사상 가장 유명한 패션디자이너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코코 샤넬, 그녀는 패션을 디자인함으로써 여성들의 생활양식까지 새롭게 디자인한, 혁신적인 사람이었어요. 샤넬 이전, 멋 좀 낸다하는 여성들은 코르셋으로 숨이 막힐 정도로 허리를 꽉 조이고, 땅에 질질 끌리는 치마를 입고, 손에는 손가방을 쥐고 다녔죠. 그녀들에게 멋스러우면서도 편안한 차림이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패션디자이너 샤넬은 ‘샤넬 라...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반려동물패션디자이너

    인간의 반려동물로 당당히 자리잡은 애완동물! 최근 애완동물 시장이 커지면서 자신이 키우는 동물에게 보다 예쁜 옷을 입히고 싶은 주인들의 욕망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패션디자이너는 애견옷을 제작하기 위해 애견의 사이즈를 재고, 아이템을 결정하여 디자인을 합니다.

    패션테크니컬디자이너

    패션테크니컬디자이너는 디자이너가 완성한 스케치가 고객이 요구하는 핏과 품질수준을 갖춘 의복 제품으로 완성되도록 돕는 의복 생산 공정 디렉터이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