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오토바이정비원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오토바이정비원은 오토바이 제품별 특성을 파악하여 엔진 및 동력전달장치, 전기오토바이의 모터, 배터리 등의 구동부와 섀시 및 안전장치 등을 정비?점검?수리한다. 통계청 KOSIS의 「이륜차 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5년 216만 1,774대에서 2022년 219만 7,763대로 최근 수년 동안 이륜차 신고 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시중에 운행되는 오토바이가 늘어날수록 오토바이정비원에 대한 수요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륜차 신고 현황
(단위 : 대)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50cc 미만 | 184,822 | 171,442 | 157,657 | 145,872 | 142,993 | 140,280 | 130,705 | 122,800 |
50cc 이상 | 867,174 | 866,940 | 868,990 | 866,702 | 862,922 | 862,641 | 778,364 | 747,335 |
100cc 초과 | 1,043,814 | 1,068,299 | 1,084,148 | 1,097,381 | 1,117,862 | 1,153,804 | 1,152,185 | 1,154,971 |
260cc 초과 | 65,964 | 74,007 | 85,680 | 98,469 | 113,118 | 132,284 | 152,583 | 172,657 |
소계 | 2,161,774 | 2,180,688 | 2,196,475 | 2,208,424 | 2,236,895 | 2,289,009 | 2,213,837 | 2,197,763 |
자료 : 통계청 KOSIS, 「이륜차 신고 현황」
오토바이 용도는 크게 레저용과 생계용으로 나뉜다. 경우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보통 레저용은 대형을 선호하는 편이다. 260cc 초과 이륜차의 경우 2015년 6만 5,964대에서 2022년 17만 2,657대로 약 2.5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1인 가구의 증가와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후 배달시장의 급속한 확대가 생계용 오토바이 수요 증가로 이어지면서 오토바이정비원의 고용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존에는 오토바이와 관련한 직접적인 자격증이 없어도 정비소를 운영하거나 오토바이 정비 업무를 할 수 있었으나, 곧 국가기술자격증인 이륜차 정비기능사 전문자격증제도가 도입될 예정이다. 기존에는 정비 작업장소가 협소하고 기름과 먼지를 만져야 하는 등 3D업종이라는 인식이 팽배했으나, 전문자격증제도가 생기면 전문직이라는 인식이 확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인하여 1~2인이 운영하는 업체가 대부분이던 이륜차 정비 분야에 50평 규모의 대형 정비업체가 생겨나고 있어 오토바이정비원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기오토바이 시장 확대도 오토바이정비원의 인력 수요에 긍정적인 요인이다.
종합하면, 1인 가구 증가, 배달시장 확대, 오토바이 관련 전문자격증제도 도입, 대형 오토바이 정비업체의 출현, 전기오토바이 시장 확대 등으로 인하여 오토바이정비원의 일자리는 향후 10년 동안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자동차를 제외한 여객이나 화물 운송기기에는 항공기, 선박, 지하철, 철도 등이 있다. 운송장비 정비원은 이러한 운송장비나 기기들을 정비하는 일을 수행한다. 이들은 정비대상에 따라 항공기 정비원, 선박 정비원, 철도기관차 및 전동차 정비원으로 구분된다. 항공기 정비원은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해 항공기의 동력장치, 착륙장치, 조종장치, 기체, 유압 및 기압시스템 등을 점검, 분해, 수리, 교환, 조립한다. 크게 기체 분야, 엔진 분야, 전자·전기·계기 분야 등으로 나뉘어 정비 업무...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