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단조원(단조기조작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조원은 해머 등의 수공구 또는 단조기계를 사용하여 금속재료에 압력을 가하거나 두들겨서 금속의 형태를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제조하는 일을 한다. 산업통상자원부의「2022년 뿌리산업실태조사」 ‘직무별 종사자 현황’을 보면, 소성가공 분야의 기능직 종사자 수는 2020년까지 5만 명대였다가 2021년 6만 명대 초반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대 뿌리산업 직종별 기능직 취업자 현황
(단위 : 명)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주조 | 22,110 | 21,299 | 24,344 | 32,634 | 31,937 | 27,572 | 28,640 |
금형 | 51,461 | 56,694 | 55,745 | 55,368 | 54,950 | 57,836 | 52,897 |
소성가공 | 58,579 | 71,609 | 55,850 | 50,102 | 51,672 | 54,234 | 61,706 |
용접 | 74,555 | 88,114 | 84,208 | 111,687 | 95,409 | 96,911 | 89,414 |
표면처리 | 34,525 | 42,268 | 40,117 | 45,840 | 54,133 | 46,838 | 45,118 |
열처리 | 7,016 | 7,828 | 8,138 | 12,379 | 12,725 | 11,623 | 11,196 |
전체 | 248,245 | 287,811 | 268,275 | 308,281 | 300,826 | 295,014 | 288,971 |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뿌리산업실태조사」(연도별)
단조는 수공구부터 자동차, 철도차량, 석유플랜트, 조선, 항공 및 방위산업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산업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 및 부품을 가공하는 기술이다. 단조 관련 사업체의 주요 수요산업은 자동차, 기계, 전자, 조선 업종으로 전체의 84.5%로 나타났다(「2022 뿌리산업 백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조선업의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와 중국 경기의 개선요인은 단조원의 고용시장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단조는 기계제품, 전자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기계가공의 중요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단조 공정에 자동화시스템과 로봇, 스마트팩토리 등 첨단기술을 적극 도입하면서 국제경쟁력을 확보해가고 있어 이들 공정관리시스템을 운용?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꾸준한 편이다. 그러나 자동차산업 트렌드가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차로 급격히 바뀌고 있어 향후 단조 기술을 사용한 자동차 부품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단조 제품의 공정 전반에 기계화와 자동화, 스마트팩토리가 진전됨에 따라 단조원에 대한 인력 수요는 일정 수준 이하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3D프린팅 기술의 발달과 도입도 단조원을 비롯한 기존 금속제품 제조업의 고용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단조 산업은 다른 업종에 비해 에너지 비용 비중이 높고, 영업이익률은 낮은 한계가 있다(「2022 뿌리산업 백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러한 단조 산업의 특성으로 인해 산업구조를 고도화해야 하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단조원의 일자리 창출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2022 뿌리산업백서」에 따르면 단조원의 연령대는 40~50대가 전체의 약 61%를 차지하고, 60대 이상도 7% 이상으로 나타났다. 고령 근로자의 은퇴 증가와 더불어 단조 산업은 열악한 근로 환경으로 전형적인 3D업종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높아 젊은 인력이 취업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자료갱신일 2019.3.8.)를 보면, 생산연령인구 중에서도 20대 남성 인구는 2020년 370만 명 수준에서 2031년 239만 명 수준으로 향후 10년간 가파르게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단조원에 대한 인력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국내 근로자의 취업경쟁률은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인 근로자 비중 13.0%로 다른 뿌리산업 업종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또한, 빈 일자리 대체 가능성이 낮은 편이다.
종합하면, 단조 공정의 자동화 및 기계화, 3D프린팅 기술 도입으로 인한 업무 효율화, 전기자동차 증가로 인한 자동차 부품 수요 감소, 종사자의 고령화 등 부정적 요인이 다수 있지만, 첨단기술 도입을 통한 국제경쟁력 확보, 우리나라 주요 수요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기대되기 때문에 향후 10년간 단조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작성, 2023년 수정)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한국직업전망
단조 공정은 대부분 소재의 검사와 소재의 준비, 단조금형 등을 이용한 단조작업, 단조작업 후 표면 처리를 위한 트리밍 작업, 시험, 검사, 열처리, 후면처리 등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단조원은 해머 등의 수공구 또는 단조기계를 사용하여 금속재료에 압력을 가하거나 두들겨서 금속의 형태를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제조한다. 단조는 가장 오래된 금속가공 공정의 하나로 과거 대장장이라고 불리던 직업이 현재의 단조원이라 할 수 있다. 단조기계 사용 유형에 따라 원하는 형상을 얻기 위해 두...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