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하는 일 | 수공구 또는 단조기계를 사용하여 금속을 두들기거나 외력을 가함으로써 금속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고 유용한 형태로 가공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보통 과거의 대장장이를 지칭한다. | |||
---|---|---|---|---|
교육/자격/훈련 | 관련학과 | 관련자격 | 훈련정보 | |
|
|
|||
임금/직업만족도/전망 | 임금 | 직업만족도 | 전망 | |
|
|
|
||
능력/지식/환경 | 업무수행능력 | 지식 | 환경 | |
|
기계(96) 공학과 기술(92) 안전과 보안(79) 물리(60) |
소음 노출(97) 보호장비 착용(97) 서서 근무(96)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4) |
||
성격/흥미/가치관 | 성격 | 흥미 | 가치관 | |
꼼꼼함(45) 스트레스 감내성(39) 분석적 사고(38) 성취/노력(25) |
탐구형(Investigative)(33) |
성취(15) 고용안정(14) 다양성(9) 애국(7) |
||
업무활동 | 중요도 | 수준 | ||
일반적인 신체활동(83)
기계장치 제어(83) 물건 조종, 운반(79) 기계장비 유지 보수(72)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67) |
기계장치 제어(82)
일반적인 신체활동(76) 물건 조종, 운반(72) 기계장비 유지 보수(70) 차량, 기계, 장비 작동(60) |
|||
일자리 현황 | 단조원(단조기조작원) | |||
관련직업 |
필요기술 및 지식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직업전망
단조 공정은 대부분 소재의 검사와 소재의 준비, 단조금형 등을 이용한 단조작업, 단조작업 후 표면 처리를 위한 트리밍 작업, 시험, 검사, 열처리, 후면처리 등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단조원은 해머 등의 수공구 또는 단조기계를 사용하여 금속재료에 압력을 가하거나 두들겨서 금속의 형태를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제조한다. 단조는 가장 오래된 금속가공 공정의 하나로 과거 대장장이라고 불리던 직업이 현재의 단조원이라 할 수 있다. 단조기계 사용 유형에 따라 원하는 형상을 얻기 위해 두...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