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경영·사무·금융·보험직 > 정부·공공 행정 사무원 > 법원공무원
법원공무원

임금

법원공무원 하위(25%) 3,675만원, 중위값 4,224만원, 상위(25%) 4,973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법원공무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6.7%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2% 미만: 감소, -2% 이상 -1% 이하: 다소 감소, -1% 초과 1% 미만: 현 상태 유지, 1% 이상 2% 이하: 다소증가, 2% 초과: 증가 중 현 상태 유지에 해당 됨

향후 10년간 법원공무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법원공무원은 법원에서 각종 소송, 재판 참여, 공탁 등 법원행정 업무를 담당하거나 등기소에서 등기사무 관련 공무를 수행하는 일을 한다. 정부는 그동안 법무 행정의 업무량와 효율화 등을 고려하여 법무공무원 선발인원을 조정하여 왔다. 법원사무직 9급 공무원의 선발 예정인원은 2015년 311명, 2016년 276명, 2017년 217명, 2018년 308명, 2019년 322명, 2020년 183명, 2021년 317명, 2022년 350명, 2023년 246명이었다. 2020년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최근 5년 이내 가장 적은 수의 인원을 선발하였으며, 200명 미만의 인원을 선발한 것은 최근 10년 이내 처음이다. 법원공무원의 최종선발인원은 당초 예상인원보다 20% 수준을 상회하지만, 매년 2~3백명 수준의 신규인력을 선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법원직 9급 공무원 선발예정인원

(단위 : 명)

연도별 법원사무직(일반), 등기사무직별(일반) 9급 공무원 선발예정인원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법원사무직(일반) 311 276 217 308 322 183 317 350 246
등기사무직별(일반) 20 18 13 22 27 22 20 27 20

자료 : 대한민국 법원시험정보 exam.scourt.go.kr

법원공무원의 고용 규모는 법원의 사건 수, 사건 처리 속도 등 대국민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에 관련된 요인 외에 정부의 공무원 정원 정책과 법원 인력의 충원수요를 반영하여 결정하는 만큼 급격한 변동 없이 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소송 서류 및 문서에 대한 전자기록시스템, 전자제출시스템을 활용한 소송 절차의 간소화 등으로 법원 업무 일부가 더욱 디지털화되면 법원공무원의 업무량도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종합하면, 법원 업무의 디지털화와 자동화라는 부정적인 요인이 있지만, 법률 관련 대국민 서비스 질적 제고를 위한 인력 충원은 꾸준할 것이므로 향후 10년간 법원공무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작성, 2023년 수정)

일자리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항목으로 구성
전망 요인 증가 요인 감소 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과학기술의 발전 -
  • 법원 업무의 디지털화 및 자동화
국내외 경기 변화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대국민 법률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한 꾸준한 인력 충원
-
기타 요인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