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소규모판매점장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규모판매점장은 소규모 도?소매업체를 직접 운영하거나 점장 혹은 매니저로 고용되어 판매 업무 및 매장 운영업무를 수행한다. 우리나라의 소비시장은 인구증가와 국민소득 향상,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의 증가, 여가 및 문화생활에 대한 수요 증가 등으로 꾸준히 성장해왔다. 즉, 소매업 종사자 수의 증가는 우리나라 소비시장의 성장과 함께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은 소매업 사업체 수가 67만개 수준에서 정체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연도별 소매업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추이
연도 | 2016 | 2017 | 2018 | 2019 |
---|---|---|---|---|
사업체 수 (개) | 663,741 | 672,216 | 676,718 | 676,516 |
종사자 수 (명) | 1,731,265 | 1,773,340 | 1,830,865 | 1,827,181 |
자료 : 통계청(각 연도), 「전국사업체조사」
오프라인 중심의 유통구조가 온라인 중심의 유통구조로 빠르게 바뀌고 있는 것이 소규모판매점장의 고용에 가장 큰 부정적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소비시장 성장의 요인인 동시에 온라인쇼핑 시장 성장의 요인인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의 증가, 인터넷(특히 모바일) 쇼핑 및 TV홈쇼핑의 발전, 택배 등 물류시스템의 발달, 온라인 판매 상품의 다양화와 품질 제고 등으로 온라인쇼핑 시장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다. 온라인 구매층의 확대는 소규모판매점장의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 최근 키오스크, 로봇 등을 이용한 무인점포의 확대는 소규모판매점장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위축, 화석연료 상승으로 인한 물가 상승 등의 요인도 도소매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소규모판매점장의 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우리나라 소비시장의 지속적 성장은 소규모판매점장의 고용에 긍정적이지만, 온라인 마켓 이용 인구의 증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 위축 등의 요인으로 소규모판매점장의 일자리는 향후 10년간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작성)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