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테마별 찾기 > 순수예술 > 국악인
국악인
유네스코는 국제연합 전문기구 중 하나로, 국가 간 교육·과학·문화의 보급 및 교류를 통해 이해를 넓히고 협력을 돈독히 하여 국제 평화와 안전을 도모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유네스코는 가치 있고 독창적인 구전 및 무형유산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인류가 창조한 위대한 문화유산의 보존과 재생을 위해 전 세계인이 관심을 갖고 노력하자는 것이 취지입니다. 2001년 유네스코가 처음 19개 유산을 지정했을 때, 우리의 국악 중 ‘종묘제례악’도 당당히 이름을 올렸습니다. 장엄하면서도 엄숙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으로 유명한 종묘제례악, 이는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들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인 종묘에서 제사를 지낼 때 연주했던 기악과 노래, 춤(무용)을 통틀어서 지칭하는 것입니다. 세종대왕이 작곡해 세조 때부터 종묘제례에 사용되었습니다. 이 종묘제례악이 세계유산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세계적으로 왕실의 제사음악이 이처럼 완벽하게 남아 있는 유일한 예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의 등재 이후 2003년 판소리, 2012년 아리랑, 2015년 줄다리기에 이르기까지 총 18개의 우리 무형문화유산이 등재되었습니다.
매체를 통해 현란한 비트, 화려한 댄스를 주로 접하는 요즘 세대에게 국악은 친숙하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가치를 인정받은 우리의 것을 지키고 발전시켜 나가려는 노력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당연시해야 할 의무가 아닐까요?
자, 지금부터 소개할 분들은 세계 속에 빛나는 우리의 문화, 그 중에서도 국악을 지키고 발전시키는 일을 직업으로 삼은 사람들입니다. 그럼 이제 만나볼까요?

1어떤 일을 하나요?

국악(Korean classical music)은 우리 민족의 고유성과 전통성을 지닌 음악입니다. 국악이란 이름은 조선 말엽부터 사용되었습니다. 서양음악의 유입 이후 이에 대응하여 국악이라 부르게 된 것입니다. 국악 중에는 무속음악이나 농악처럼 역사적으로 그 근원을 알 수 없는 음악도 있고, 고조선부터 삼한시대까지 전해 내려 온 것들도 있습니다. 이런 국악의 맥을 잇는 사람들을 국악인이라 하며, 이들은 국악기연주가, 국악성악가, 국악작곡자 등으로 활동합니다. 

‘국악기연주자’는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장구 등과 같은 우리나라의 전통 국악기로 전통국악이나 창작국악을 연주합니다. 국악인이 국악연주단체에 소속된 경우, 정기연주회와 각종 행사, 타 단체와 협연을 하며 단독으로 연주하고 있습니다. 공연 전에는 음악의 곡조 연습뿐만 아니라, 연주에 사용될 악기를 조율하고 리허설을 합니다.

‘국악성악가’는 가야금, 거문고, 대금 등 국악기의 장단에 맞춰 가곡, 가사, 시조를 노래하거나 판소리, 민요, 창극 등을 부릅니다. 이들은 국공립 국악단체, 사설단체 등에 소속되어 있거나 개별적으로 활동합니다. 국공립 단체의 경우 악기별 책임자 ‘수석’이 있으며 지휘자가 단장을 겸하기도 합니다. 단체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 정해진 시간에 출근해 연습해야 하고, 공연이 없을 때에도 음악의 곡조연습, 악기조율, 발성연습 등을 합니다. 이들 중에는 국악성악가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의 강사를 하거나 개인교습을 병행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국악작곡가’는 창작국악을 만들거나 전통국악을 새롭게 편곡하는 일을 합니다. 따라서 국악작곡가들은 국악이론뿐만 아니라 가야금, 거문고와 같은 국악기도 다룰 줄 알아야 합니다. 

2어떻게 준비하나요?

과거에는 무형문화재(인간문화재) 등 유명한 국악인에게 가르침을 받기 위해 문하생으로 들어가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예술 중고등학교나 대학에서 체계적으로 교육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는 국악학과, 한국음악학과 등이 개설되어 있으며, 입학 시 국악이론과 실기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전공악기에 따라 독주자로 활동하기도 하며, 음악단체의 단원으로도 활동할 수 있습니다. 국공립 단체의 경우 인원이 빠지면, 공개채용으로 부족한 인원을 채우고 이때 서류 전형 및 실기시험을 치릅니다. 사설단체의 경우 인맥이나 추천을 통해 입단하기도 합니다.

국악인으로 활동하려면 무엇보다도 전통음악을 아끼고 사랑할 줄 알아야 하며, 재능이 빼어나야 합니다. 끊임없이 연습하는 인내와 끈기, 창의력, 표현력 등이 요구되며, 악보를 읽고 해석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음악 지식도 갖춰야 합니다. 특히 국악기연주가는 섬세한 손놀림을, 국악작곡가는 화성의 진행이나 악기들의 음색을 파악하여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음악단체의 단원으로 활동을 할 경우에는 팀워크도 중요합니다.

3이 직업의 현재와 미래는?

전통음악을 재해석하고 현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면서 전통예술 공연이 양적으로 미세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전통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 정책적으로 국악 및 전통예술에 대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죠.

과거에는 전통을 계승하고 보존하는 대상으로 국악을 보았다면, 요즘은 국악을 친숙하게 접할 수 있도록 실용국악, 생활국악 등이 선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전문국악인 남상일 씨나 송소희 씨의 경우 많은 예능 프로그램 출연으로 국악의 인지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대중가요나 광고에서도 국악기가 사용되고, 퓨전국악이라 하여 유명한 외국곡이나 가요가 국악기로 다시 연주되기도 하는 등 국악과 양악의 절묘한 하모니를 자아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해금, 가야금으로 시작한 퓨전국악이 음반시장에서 좋은 호응을 얻고 있고, 비보이 공연처럼 대중에게 인기 있는 공연과 합작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국악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년 배출되는 인력에 비해 국공립 단체에서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인력은 제한적이어서 인지도가 있는 단체의 경우는 입직경쟁이 더 치열할 전망입니다.

4한 걸음 더

유투브, 페이스북 등 SNS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이곳을 통해 재능을 뽐내고 자신을 알리는 사람도 많습니다. 국악에 재능이 있고, 앞으로 국악인의 길을 걷겠다면 유투브에 직접 동영상을 올리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을 알리고 화제를 모을 필요도 있을 것 같습니다. 국악을 다소 생소하고 고루한 것으로 오해하는 대중에게, K-POP를 통해 한국의 ‘흥’과 ‘소리’를 경험한 전 세계인에게 나의 재능으로 신선한 충격을 줄 수 있지 않을까요?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이랑, 윤미희(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