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테마별 찾기 > 건설/교통 > 자동차정비원
자동차정비원
우리나라에는 ‘명장제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해마다 고용노동부가 여러 기능 분야의 최고 기술자를 명장으로 선정해 경제적 지원과 명예를 부여하지요. 비슷한 제도로 독일의 ‘마이스터제도’가 있어요. 우리나라의 자동차 정비 명장 1호는 박병일 명장입니다. 그에 의하면 육안으로 보는 1차원정비, 소리를 듣고 고치는 2차원정비, 데이터를 통해 진단하는 3차원정비, 고장 나기 전 미리 사전정비를 하는 시스템 정비를 4차원정비가 있답니다. 또 사고의 예방을 위해서는 4차원의 정비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해요. 한 분야의 대가다운 생각이죠? 이런 훌륭한 분의 후배가 되어 자동차 안전을 책임지고픈 사람은 귀 기울여 주세요.

1어떤 일을 하나요?

자동차가 생활의 일부가 된 시대, 하지만 아무리 편리해도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없습니다. 자동차 정비 분야에는 특히 명장이 절실해요. 풍부한 경험을 통해 자동차의 상태를 점검하고 수리하는 것은 탑승자의 안전과 생명을 지켜줄 테니까요!
자동차정비원은 일반 승용차 및 버스·트럭 등 각종 자동차의 엔진과 차체, 관련 부품 등을 수공구나 관련 장비로 조정·정비·수리·교환하는 일을 합니다. 이들은 주로 카센터나 자동차 정비공장에서 일하는데 엔진장치, 전자·전기장치, 자동차 하체부, 판금부 등 각 분야별 정비를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먼저 수리를 의뢰한 자동차를 해체하거나 시운전을 통해서 고장 원인을 찾아냅니다. 그 뒤 낡거나 고장난 부품 등 자동차 소모품을 교체하는 사전정비를 해요. 엔진부에서는 엔진의 연료장치, 윤활장치 등을 점검해 문제가 있는 부분을 정비하고, 전기부에서는 각종 센서 등 자동차의 운행에 필요한 전자제어시스템을 점검·관리합니다. 자동차하체부에서는 타이어, 브레이크와 같은 자동차의 구동장치의 정비를 담당하며, 판금부에서는 일그러진 차체를 펴거나 교체하고 용접하는 일을 한답니다.
정비공장에서 일하는 자동차정비원은 엔진부, 전기부, 하체부 등으로 나뉘어 전문 업무를 담당하지만, 소규모 부분정비업체인 카센터에서는 한 사람의 자동차정비원이 모든 정비를 담당하기도 해요. 자동차 튜닝업체에서 일하면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맞도록 자동차를 개조해 주는 일을 하기도 합니다.

2어떻게 준비하나요?

자동차정비원은 자동차나 기계에 대한 흥미와 적성이 필요해요. 공업계 고등학교나 직업전문학교, 기능대학 및 대학에서 자동차 및 기계 분야를 전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자동차과, 자동차정비과, 자동차기계과, 차량기계과, 카일렉트로닉스과, 기계공학과, 자동차공학과 등이 관련 학과예요. 학교 이외에 자동차정비 관련 사설학원이나 직업훈련기관에서 훈련이수 후 취업하기도 합니다. 자동차튜닝과정은 주로 직업훈련기관에 개설되어 있으며, 자동차 제조사에서 자동차 정비에 관련 과정을 개설하여 교육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동차정비분야(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자동차검사분야(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등 자동차정비와 관련한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하면 취업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해요.

3이 직업의 현재와 미래는?

자동차 생산기술의 발달에 따른 품질향상, 자동제어시스템의 개발과 도입은 자동차의 고장률 감소와 사고 감소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동차 기술발전은 자동차정비원의 일자리를 줄일 수도 있지만, 거꾸로 생각하면 가솔린 하이브리드차(HEV), 클린 디젤차 등과 같은 신차의 출현은 새로운 정비기술 인력 수요를 발생시키게 될 것으로 보여요. 또한, 앞으로 전자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의한 자동항법장치 등을 갖춘 고급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와 등 미래형 자동차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자동차정비원에 대한 인력 수요는 전반적으로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4한 걸음 더

자동차정비원은 사람의 안전과 직결된 일을 하죠. 일할 때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직업입니다. 또한 기계·전기·전자 및 화학 등 다양한 기술 분야가 혼합된 복잡한 기계가 자동차예요. 따라서 이론과 실무에 걸쳐 종합적인 훈련이 필요합니다.
자동차 정비의 1인자 박병일 명장은 자동차의 원리를 파악하기 위해 <자동차백과사전>을 탐독하면서도 ‘머리 속이 아닌 손끝에서 나오는 것이 진짜 기술’이라는 생각으로 자신보다 기술적으로 뛰어난 사람을 멘토로 기술 연습을 게을리하지 않았다고 해요. 이론과 기술의 조화가 이루어질 때 좋은 자동차정비원이 될 수 있나봅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이랑, 윤미희(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