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사전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사전
『한국직업사전』 에 수록된 직업들은 직무분석을 바탕으로 조사된
정보들로서 수많은 일을 조직화된 방식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유사한 직무를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다.
산림경영계획편성원

직무개요

소유산림의 지리상황과 현재의 산림현황을 조사·파악하고 임상별로 산림을 구획하여 연차적으로 현실림을 법정림상태로 유도하는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한다.

수행직무

산림의 경영상 편의를 위하여 영구림을 설정한다. 천연림(수령, 수종, 작업종)을 고려하여 임반(林班:면적, 지형을 고려하여 설정한 영구적 성질을 가진 기초적인 임지구획단위)을 구획한다. 임반별로 임상(林相:산림을 구성하는 수종)에 따라 여러 개의 소반(小班:임반 내에서 그 상태 및 취급에 차이를 둔 부분)으로 구획을 확정한다. 소반별로 지황조사(地況調査:임지의 생산력 및 경제적 가치의 판단자료를 위한 대상임지의 기후, 지세, 방위, 경사, 토성, 토양심도, 토양습도, 지위, 지리 등의 조사)와 임황조사(林況調査:산림의 상태를 조사하고 현재 생산력을 명확히 하며, 장차 영림방법을 결정하는 자료를 얻기 위한 조사)를 실시하여 임목축적조사자료를 만든다.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도면에 임·소반구획을 표시하고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등을 색깔별로 표시하고, 임목의 수령, 소밀도, 임상도(林相圖:임상별, 영급별, 입목의 구성상태와 임도, 방화선, 묘포 등의 시설현황을 표시하여 전체산림을 일목요연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작성된 도면)를 작성한다. 소반별로 면적을 계산하여 임목지, 미임목지의 면적을 기재하고 임황, 지황 및 재적 등의 생장량을 산출하여 산림조사부를 작성한다. 미임목지와 벌채지에 적당한 수종을 선택하여 조림계획을 세운다. 임목(林木:천연림, 인공림을 포함하여 임지에 생육하고 있는 개개의 수목을 말함)의 생장촉진과 우량재의 생산을 위하여 무육(밑깎기, 덩굴치기, 제벌작업 및 간벌, 가지치기작업)계획을 세운다. 산림 내의 임목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벌채계획을 세운다. 벌채된 목재를 운반할 수 있도록 임도시설계획과 산화방지를 위하여 방화선시설계획을 수립한다. 각종 사업을 결정하고 경영방법 및 생산재의 판매시장을 계획한다. 작성된 임상도, 산림조사부, 조림벌채계획부, 사업안설명서를 종합한 산림경영계획서를 관할기관에 제출하여 인가를 받는다.


부가직업정보

  • 정규교육 : 12년 초과 ~ 14년 이하(전문대졸 정도)
  • 숙련기간 : 2년 초과 ~ 4년 이하
  • 직무기능 : 자료 (조정) / 사람 (말하기-신호) / 사물 (관련없음)
  • 작업강도 : 보통 작업
  • 육체활동 : -
  • 작업장소 : 실내·외
  • 작업환경 : -
  • 유사명칭 :
  • 관련직업 :
  • 자격/면허 :
  • 고용직업분류 : [1223]농림어업 시험원
  • 표준직업분류 : [2132]농림·어업 관련 시험원
  • 표준산업분류 : [A020]임업
  • 조사연도 : 2022
  • 비고 :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김중진, 윤미희(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