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사전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사전
『한국직업사전』 에 수록된 직업들은 직무분석을 바탕으로 조사된
정보들로서 수많은 일을 조직화된 방식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유사한 직무를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다.
영화복원원

직무개요

영화필름 보존소를 운영하며 시간이 경과하여 상영이 불가능하거나 영상품질이 떨어진 필름을 원상태에 가깝게 복원한다.

수행직무

수집된 영화필름 및 부가자료(영화제작기록 노트, 포스터, 홍보물, 스틸자료 등)를 보존 장소에 보관하고 주기적으로 유지·관리한다. 영화필름의 보존주기 및 복원가치와 목적에 따라 복원할 필름을 선정한다. 원본 필름의 품질, 보존한계, 복원비용 등을 고려하여 복원유형(원본 보전을 위한 부분복원, 필름을 필름으로 복제, 복원 결과물의 저장 및 활용 방식)과 복원방법(아날로그 복원, 디지털 복원, 부분 디지털 복원, 손상부분만 복원)을 결정한다. 복원할 필름의 종류, 상태, 필름 캔 위의 정보를 점검한다. 필름의 길이를 측정하고 퍼포레이션(Perforation:영사기의 스프로킷과 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필름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뚫린 구멍)의 훼손상태, 스크래치가 발생한 부분, 인화물질의 농도값, 필름의 수축상태, 필름의 휨상태 등을 측정한다. 기술적으로 복원 가능한 상태인지 검토하고 필요시 외부의 기술지원을 받는다. 영사기 오일이나 곰팡이와 같은 오염물질을 화학용액, 물 등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PTR로울러(Particle Transfor Roller:특수 제작된 연질의 폴리우레탄 롤러의 점착성을 이용해 필름의 이물질을 제거)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퍼포레이션 등 필름의 찢어진 부분을 수작업으로 접착하여 복원한다. 사운드를 체크하고 사운드 보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보정한다. 복원된 필름을 새 필름에 현상하여 복원된 필름을 만든다. 필요시 영화 후반 편집 작업과 유사한 보정작업을 진행하기도 한다. 영화필름의 부분 또는 전부를 디지털 방식으로 복원하는 경우, 복원할 필름을 프레임 하나씩 디지털로 스캔해서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먼지 제거, 스크래치 복원, 화면떨림 보정, 잡음 제거, 색 보정, 사운드 보정 등의 작업을 진행한 후, 복원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최종 파일을 만들고 보관용 필름 또는 상영용 필름, 디지털 시네마 파일, 디지털 콘텐츠 파일을 만든다.


부가직업정보

  • 정규교육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 숙련기간 : 2년 초과 ~ 4년 이하
  • 직무기능 : 자료 (분석) / 사람 (관련없음) / 사물 (정밀작업)
  •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 육체활동 : 청각
    손사용
    시각
  • 작업장소 : 실내
  • 작업환경 : -
  • 유사명칭 : -
  • 관련직업 : -
  • 자격/면허 : -
  • 고용직업분류 : [4131]학예사 및 문화재 보존원
  • 표준직업분류 : [2821]학예사 및 문화재 보존원
  • 표준산업분류 : [J591]영화, 비디오물,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
  • 조사연도 : 2012
  • 비고 : -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김중진, 윤미희(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