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경영·회계·사무 > 상품기획자
상품기획자

일자리 전망

상세내용 하단 참고

향후 10년간 상품기획자의 취업자 수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0)에 따르면, 상품기획자는 2019년 약 24 천 명에서 2029년 약 27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3천 명(연평균 1.1%)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양한 상품이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고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상품기획자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다. 제품판매에서 홍보나 마케팅도 중요하지만 소비자가 원하는 신제품을 기획하고, 기존에 출시된 제품 중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제품을 찾아 소개하는 역할이 무척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등 인구구조의 변화로 새로운 고객층의 니즈분석과 시장 분석 등이 요구되어 상품기획자의 고용증가에 긍정적이다. 중장년층을 위한 화장품처럼 세분화된 소비자의 특성에 부합하는 상품기획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내 1인 가구는 2019년 614만 가구를 넘어 전체 가구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어 산업계 전반에서 이들을 주요 타깃으로 하는 다양한 상품개발 및 기획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대기업의 브랜드이미지를 우선 고려하여 소비하기보다 제품에 대한 정보를 여러 경로를 통해 소비자 스스로 꼼꼼히 탐색하여 구매하거나 백화점, 홈쇼핑, 로드숍 등이 아니라 SNS 등의 틈새시장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등 구매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시장 트렌드가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대에 상품기획자의 직관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변수들이 많아져서 소비자의 구매패턴과 소비트렌드, SNS정보 등에 대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상품수요를 예측한 후 신상품의 기획 및 마케팅의 업무 효율을 높이는 업체가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최신의 트렌드를 상품기획에 반영하고, 빅데이터의 함의를 파악하여 구매력이 높은 제품을 기획하는 등 상품기획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에도 변화가 일고 있다. 또한 ICT환경과 관련한 제품, 농업에 기반한 제품 등 점차 시장환경이 다양해짐에 따라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가 높은 이공계 출신이 상품기획자로 진출하는 경우도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전문성을 갖춘 상품기획자는 특정 업체에 소속되지 않고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경우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의 기호를 상품에 유연하게 반영하는 다양한 스타트업들이 생겨나면서 경력과 전문성을 갖춘 상품기획자의 수요는 증가할 전망이며 향후에도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에서 상품기획자의 수요가 커질 것이다. 유통 대기업의 이커머스(e-commerce) 참여와 대형 포털사이트 및 SNS 의 이커머스 역량 강화로 플랫폼이 점점 다양해지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상품 차별화를 위한 상품기획자의 역할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종합하면, 고객층과 소비자의 니즈 다양화, 온라인플랫폼을 비롯한 틈새시장을 통한 구매 증가, 점차 치열해지는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상품 차별화 필요성 증가 등의 영향요인에 따라 향후 10년간 상품기획자의 취업자 수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직업

마케팅전문가, 머천다이저(MD), 카테고리매니저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0243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2731

관련 정보처

대한상공회의소 (02)6050-3114 www.korcham.net

한국산업인력공단 1644-8000 www.hrdkore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