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문화예술 > 사서 및 기록물관리사
사서 및 기록물관리사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다소 증가

향후 10년간 사서 및 기록물관리사의 취업자 수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사서 및 기록물관리사는 2016년 약 14.8천 명에서 2026년 16.7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1.9천 명(연평균 1.2%) 정도 증가할 전망이다. 정보화 사회를 맞아 평생교육의 수요가 증가하고 공공도서관의 편의성이 크게 개선되면서 이용객 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정부에서도 공공도서관을 확충하고, 사서직 전문 인력의 충원과 도서관 협력시스템 구축 등 공공도서관 지원정책들을 추진하면서 사서의 수요는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기존 도서관이 없던 지역 주민들이 공공도서관 건립을 요구하고 있고, 신도시 및 도시재생개발 사업 등의 일환으로 도시계획이 이뤄지면서 공공도서관 신설이 확충되고 있다. 또한 국민의 여가활동 및 문화욕구 증대에 따른 생활 SOC(체육시설, 도서관, 박물관, 복지시설 등의 사회간접자본) 예산이 증가하는 점도 사서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문화체육관광부의 「2017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에 따르면, 문화기반시설은 꾸준히 증가해 2017 년 기준 2,657개소로 집계되었고, 사서 및 기록물관리사가 주로 근무하는 공공도서관은 2017년에 전년 대비 32개관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공공도서관은 2010년 703개에서 2017년 1,010개로 증가해 사서 및 기록물관리사의 채용 기회가 늘어났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2017 전국 문화기반시설 연도별 현황
연도 총계 국립도서관 공공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지방문화원 문화의 집
2010 1,883 - 703 630 141 182 227 -
2011 1,979 - 759 655 145 192 228 -
2012 2,072 - 786 694 154 209 229 -
2013 2,182 - 828 740 171 214 229 -
2014 2,375 1 865 754 190 220 229 116
2015 2,519 1 930 809 202 232 229 116
2016 2,595 1 978 826 219 229 228 114
2017 2,657 1 1,010 853 229 236 228 100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2017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다만, 공공도서관 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사서의 일자리는 한정되어 있고 인력을 추가로 늘리기보다는 1인당 소장자료나 관람인원 수를 높이는 경향이 있어서 사서 고용의 양적 확대 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예산 제약으로 도서관 확충에 비례한 인력 증가가 어렵고, 도서관에서의 자료 검색·열람 등이 전산화되면서 최소 인원을 고용하는 점은 사서의 일자리 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서가 전문직으로 인정받으면서 대학의 관련 학과에 진출하거나 사서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사람 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임금이 높고 신분이 안정적인 국공립도서관의 사서직 공무원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공공분야의 취업 경쟁률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제 도서관은 단순히 도서를 이용하는 장소에서 벗어나 종합적인 ‘정보문화센터’로 변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서가 음악, 예술, 전시, 교육 등 문화융합적인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전통적인 업무 외에 서비스 마인드 및 전문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용객의 수준 높은 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는 주제전문 사서로서의 역량을 개발하는 등 직무변화에 따른 경력개발이 요구된다. 기록물관리사의 경우,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0조(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과 배치)에 근거해 “전문기록물관리기관은 전체 인원 중 4분의 1 이상(4분의 1이 1인 미만일 때는 1인 이상)을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으로 배치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정보와 지식에 대한 가치가 증가하는 지식정보화사회에서 기록물의 수집, 분석, 평가, 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과거 기록물의 DB 구축 등 기록물 저장 및 관리 분야에도 관심이 증가 하면서 이들의 업무영역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각종 기업에서도 회사의 기록물을 정보화할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하지만 업무의 중요성과 관심은 증가하는 데 비해 실제 고용이 발생하는 기관이나 기업의 수가 크게 확대되지 않고, 조직 내부에서도 전문 기록물관리사를 두기보다 유사 업무와 병행하게 하는 경향이 있어 실질적인 고용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2017 전국 문화기반시설 연도별 현황
연도 총계 국립도서관 공공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지방문화원 문화의 집
2010 1,883 - 703 630 141 182 227 -
2011 1,979 - 759 655 145 192 228 -
2012 2,072 - 786 694 154 209 229 -
2013 2,182 - 828 740 171 214 229 -
2014 2,375 1 865 754 190 220 229 116
2015 2,519 1 930 809 202 232 229 116
2016 2,595 1 978 826 219 229 228 114
2017 2,657 1 1,010 853 229 236 228 100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2017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관련 직업

도서관장, 문화재보존원, 기록보관원, 기록연구원, 기록연구사 등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4132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2822

관련 정보처

한국도서관협회 (02)535-4868 www.kla.kr

성균관대학교 한국사서교육원 (02)760-1212 slis.skku.edu

계명대학교 사서교육원 (053)580-5795 slis.kmu.ac.kr

부산여자대학 부설 부산사서교육원 (051)850-3212 slis.bwc.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