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문화예술 > 학예사(큐레이터)
학예사(큐레이터)

학예사는 국공립 박물관 및 미술관, 사립 박물관 및 미술관, 대학 박물관, 상업화랑 등에서 근무한다. 박물관 및 미술관에서는 대규모 공채보다는 필요시 인력을 충원하고 있으며, 사립 미술관이나 갤러리, 상업화랑의 경우는 학교 추천이나 인맥 위주의 채용이 주로 이루어진다. 이 밖에 인턴사원을 공개 채용한 뒤 이들 중에서 정식직원을 채용하기도 한다. 학예사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 또는 대학원에서 고고학, 사학, 미술사학, 예술학, 민속학, 인류학 등을 전공하는 것이 좋다.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경우 채용 시 관련 전공자로 응시자를 제한하는 경우도 있지만, 미술관에서 근무하는 학예사의 경우는 동양화, 서양화, 조각, 도예 등 미술 실기를 전공한 사람도 있고, 영문학이나 사회학을 전공한 사람들도 있다. 이밖에 대학에 큐레이터학과가 생기고, 예술대학원이나 미술대학원의 예술기획 전공, 예술경영학과, 박물관학과, 미술관학과 등이 개설되어 있어 전문적인 지식을 교육받을 수 있는 곳이 많아졌다. 학예사는 작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국공립 미술관이나 사립 미술관의 학예사 채용에서는 석사 이상의 학위를 요구하고 있다. 학예사와 관련된 자격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시행하는 박물관·미술관 학예사가 있다. 등급은 1급 정학예사, 2급 정학예사, 3급 정학예사, 준학예사로 구분된다. 3급 정학예사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박사학위 취득 후, 경력인정대상기관에서 1년 이상의 실무경력을 갖추거나, 석사학위 취득 후 경력인정대상기관에서 2년 이상의 실무경력을 갖추거나, 준학예사 자격 취득 후, 경력 인정대상기관에서 4년 이상의 재직경력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인턴십이라든지 학예 분야 에서의 자원봉사, 계약직 등의 다양한 경험이 필요하다. 국공립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는 학예사 자격증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사립미술관이나 박물관 에서는 학예사 자격증이 있는 사람을 선호한다.

■ 관련 학과: 문화·민속·미술사학과, 역사·고고학과, 미술학과 등

■ 관련 자격: 박물관 및 미술관 정학예사 1급/2급/3급, 준학예사(이상 국립중앙박물관)

적성 및 흥미

역사를 비롯해 다양한 문화권의 생활양식, 언어, 예술 등 문화 전반에 대한 흥미가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며,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소장품 및 전시품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다양한 전시를 기획할 수 있는 풍부한 아이디어와 창의력, 기획력이 요구되며, 전시를 위한 비즈니스 감각이 필요하다. 학예사의 경우 하나의 전시회를 기획하고 관객에게 선보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제들을 만나게 되고 이를 현명하게 처리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일종의 행사를 치른다는 점에서 돌발적인 문제들이 생각지 못한 곳에서 생겨날 수 있다. 작가를 섭외하는 과정이나 작품을 선정하고 이를 실제 전시장에 설치하는 과정, 또 홍보를 하거나 관객을 모으는 활동 등 혼자 이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해야 해서 경험을 쌓아가며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학예사는 작가와 관객을 연결하는 중간자의 역할을 한다. 또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야 전시 프로젝트가 완성되기 때문에 전시의 의도를 잘 설명하고 이해시키고 또 그 과정에서 감동하게 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달과정은 말과 글을 통해 이뤄지며, 큐레이터는 전시를 글로 가장 먼저 전달하고 또 작가와 관객에게 말로 또 전달해야 하므로 의사소통능력, 글쓰기 능력이 있으면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된다. 해외미술관이나 박물관과의 교류 전시회가 늘어나고 국가 간의 교류도 활발해지므로 국제전시나 작품수집, 조사 및 연구를 위해 영어, 불어 등 외국어 능력도 중요하다.

경력 개발

국공립 박물관 및 미술관 큐레이터의 경우 ‘학예연구사’로 입사하여 3∼5년의 경력을 쌓으면 ‘학예연구관’으로 승진할 수 있다. 상당 기간 관련 경험을 쌓아 능력을 인정받으면 독립 큐레이터로 활동하기도 한다. 경력개발을 위해 외국으로 유학을 가는 사람도 많으며 석·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경력을 쌓은 후 대학교수가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