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디자인 및 방송 > 영화·연극 및 방송제작장비기사
영화·연극 및 방송제작장비기사

일자리 전망

상세내용 하단 참고

향후 10년간 영화, 연극 및 방송 제작 장비기사의 취업자 수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부적으로 촬영기사와 영상·녹화 및 편집기사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향후 10년간 촬영기사의 취업자 수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0)에 따르면, 촬영기사는 2019년 약 13천 명에서 2029년 약 15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2천 명(연평균 1.1%)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10년간 영상·녹화 및 편집 기사의 취업자 수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9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0)에 따르면, 영상·녹화 및 편집 기사는 2019년 약 25천 명에서 2029년 약 32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7천 명(연평균 2.3%)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화, 연극 및 방송 제작 장비기사의 일자리는 방송, 영화, 공연 등의 산업에 큰 영향을 받는다. 지상파방송 중심이던 방송환경이 종합유선방송과 방송채널사용사업, IPTV 등으로 다매체, 다채널화되고 스마트폰 이용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기기 등 뉴미디어 시대에 걸맞은 다양한 콘텐츠 수요를 증대시키고 있다. 더욱이 HDTV의 보급으로 고화질, 고음질 등 질 높은 방송콘텐츠의 제공이 더욱 중요해지면서 방송기술인력의 역할과 전문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편, e스포츠활성화를 위해 성남, 대전, 부산, 광주 등 4곳에 전용경기장을 건설 중이다. 이에 따라 전용경기장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촬영, 편집, 조명, 음향, 무대장치 등)의 수요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장비 및 설비의 자동화와 디지털화는 1인당 생산성을 높이면서 향후 인력확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19년 방송산업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카메라, 음향, 조명, 미술, 편집 등이 포함된 방송직의 제작 관련 인력(방송영상독립제작업체 제외)은 소폭증가 추세이나 최근에는 그 변화가 미미하다. 종사자 수 변화를 보면 2013년 4,037명, 2014년 4,581명에서 2018 년에는 4,884명이었다. 한편, 방송영상독립제작사의 기술분야는 2018년 기준 1,781명이었다. (2016 년 1,329명, 2017년 1,843명). 한편 2019 공연예술실태조사(2018년 기준)에 따르면 공연시설과 공연단체의 무대기술인력과 기술인력의 규모는 4천여 명 수준(공연시설 무대기술인력 2,440명, 공연단체 기술인력 1,404명)으로 2017년(각각 2,429명, 1,673명)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방송산업 직종별 종사자 수
구분 전체 임원 경영진 방송직 기술직 연구직 영업/ 홍보직 기타 기자 PD 아나 운서 제작 관련 기타 전 체 종 사 자 2013.12 34,714 769 5,420 3,792 4,634 750 4,037 2,332 4,682 486 4,861 2,951 2014.12 34,615 785 5,635 3,798 4,550 755 4,581 2,250 4,284 539 5,340 2,098 2015.12 35,096 771 5,578 3,992 4,724 730 4,766 1,855 4,215 404 5,439 2,622 2016.12 35,992 763 5,926 4,000 4,628 717 4,745 2,105 4,362 432 5,392 2,922 2017.12 36,815 809 6,120 4,225 4,822 708 4,843 2,021 4,243 503 6,048 2,473 2018.12 37,288 744 6,053 4,074 4,921 694 4,884 2,197 4,239 965 6,245 2,272

자료 : 2019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방송통신위원회)

지상파방송사의 경우 매년 채용되는 인원이 한정적이고 업무 환경이나 보수가 좋아 이·전직이 거의 없어 신규 채용을 기대하기 어려운 편이다. 최근 1인 방송이 확대되고 동영상스트리밍서비스가 확대되는 등 뉴미디어 등장으로 방송계의 수익구조가 악화되고 있다. 영세한 규모의 외주 및 독립 프로덕션의 경우는 근무여건이 좋지 않아 우수한 인력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이에 따른 제작기술 인력의 신규 진입은 활발한 편이다. 하지만 업체 간 경쟁의 심화, 제작 예산의 한계, 열악한 처우 등의 문제로 일자리의 양적 질적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세부 직종별로 살펴보면, 촬영기사는 영상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 확대와 촬영기법의 보편화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음향 및 녹음기사는 뉴미디어 매체의 증가로 업무가 늘어나고 일정 부분 수작업이 필요해 고용이 유지될 전망이다. 영상· 녹화 및 편집기사는 전문가의 특화된 기술이 요구되고 다양한 플랫폼의 등장으로 편집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당분간 고용이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공연이 활성화되면 이들의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이다. 대신 카메라 기종과 편집기기의 발전은 이들의 수요를 감소시킬 수 있다. 조명기사는 조명장비와 설비의 자동화 및 디지털화, 방송기술의 발전, 제작 예산 제약 등으로 큰 폭의 일자리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무인장비의 개발 및 보급과 함께 새로운 장비보급의 확대, 조명의 소형화, 다기능화, 자동화 등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공존하면서 일자리의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할 것이다. 영사기사는 디지털 기술 발달로 1인 다직무 수행으로 인력 수요가 점점 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관련 직업

촬영기사, 음향 및 녹음기사, 영상·녹화 및 편집기사, 수중촬영기사, 보도카메라맨, ENG카메라맨, 조명기사, 영화녹음기사, 동시녹음기사, 음향믹싱기사, 영화편집기사, 방송편집기사, 디지털영상처리전문가, 색보정기사, 헬리캠촬영기사 등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4164 4165 4166 4167 4169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2834 2835 2836 2837 2839

관련 정보처

방송통신위원회 (02)500-9000 www.kcc.go.kr

한국방송촬영인협회 (02)3219-5660 koreandps.or.kr

한국영화조명감독협회 (02)755-6797 www.ksld.or.kr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02)3219-5635 www.kobet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