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영업 및 판매 > 영업원
영업원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현 상태 유지

향후 10년간 영업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영업원(해외영업원, 기술 영업원, 자동차영업원, 제품 및 광고 영업원)은 2016년 약 660천 명에서 2026년 약 666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7천 명(연평균 0.09%) 정도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고용변화가 크지 않아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부직업별로 보면 해외영업원과 자동차영업원은 다소 증가 (연평균 0.4%~0.8%)할 것으로 보이지만 제품 및 광고영업원(일반영업원)은 현 상태를 유지 (연평균 0.0%)하고 기술영업원은 감소(연평균 -0.1%)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외영업원의 고용은 글로벌 경제 환경과 국내 기업의 적극적인 해외진출에 영향을 받는다. 우리나라의 수출액과 수입액은 지난 10여 년간 꾸준한 증가를 보인가운데, 2017년 수출은 전년대비 15.8% 증가하였고(5,739억 불), 수입도 17.7% 증가하였다(4,781억 불). 세계 각국의 기업들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FTA 체결이 이루어졌거나(미국, EU, 캐나다, 중국 등) 추진하고 있어(일본, 멕시코 등) 해외무역량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무역 규모가 커지게 되면 동시에 해외영업원의 활약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휴대폰 등 주력 수출품목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중국, 일본 등의 경쟁국가와도 국제무대에서 경쟁이 나날이 치열해지고 있다. 기존에 내수시장에만 머물러 있던 기업들도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어 해외영업원이 다소 증가할 것이다. 자동차영업원의 고용은 국내에서 판매되는 자동차 대수에 영향을 받는다. 통계청의 자동차 등록 현황을 보면 2017년 기준으로 등록대수가 2,253만대로 전년대비 3.3%(725천대) 증가하였고, 2020년경 자동차등록대수는 2,500만대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최근에는 외국계 자동차 회사들이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적극적으로 국내 마케팅을 하면서 수입차가 증가함에 따라 수입 차영업원의 고용 증가가 예상된다. 국내 자동차시장을 놓고 국내 자동차회사와 외국계 자동차회사 간의 마케팅 및 영업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질 것으로 판단되므로 자동차영업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저출산과 고령화, 자동차 연료비 상승, 자동차세 등 유지비의 증가, 경기 침체 등으로 자동차 수의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근에는 자동차를 렌트하여 이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고, 인터넷이나 홈쇼핑 등 자동차 구매방식도 다양화할 가능성이 있어, 자동차영업원의 고용 증가를 저해하는 요인도 커지고 있다. 기술영업원의 고용은 우리나라 경제가 성장률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나 산업장비나 방송장비, 정보통신장비, 의료기기 등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을 필요로 하는 고가의 장비나 서비스 품목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IoT, AI, Cloud 등의 기술 발전으로 고가 장비에 대한 접속과 관련된 시·공간적 제약이 크게 완화됨에 따라 제품에 대한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개인, 사업체)에게 기술적 설명과 전문적인 사후서비스를 제공할 기술영업원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반적으로 기술영업원의 일자리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영업원(제품 및 광고영업원)의 고용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거래 방식이 발달하면서 위협을 받고 있다. 이전에는 영업사원이 기업이나 개인(자영업자)을 방문하여 영업을 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개인과 기업 간 거래(B2C)뿐만 아니라 기업 간 거래(B2B)에서 인터넷 및 정보통신 매체를 활용하게 됨에 따라 영업원을 직접 통하지 않고도 물품 구매가 가능해졌다. 향후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별도의 특별한 설명이나 서비스를 필요로 하지 않아 소비자가 직접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는 일반 제품에 대한 영업활동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나 상품이나 서비스의 거래량 자체는 증가하여 일반영업원의 일자리는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일자리 전망
전망요인 증가요인 감소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저출생, 고령사회
국내외 경기 수출입 확대
기업의 경영전략 변화 해외시장 다변화
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B2B등 온라인 거래 확대
법,제도 및 정부정책

관련 직업

산업용기계장비기술영업원, 전자통신장비기술영업원, 의료장비기술영업원, 농업용기계장비기술영업원, 자동차부품기술영업원, 의약품영업원, 해외영업원, 자동차영업원, 건축자재영업원, 인쇄 및 광고영업원, 식품영업원, 체인점모집 및 관리영업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6121 6122 6123 6124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2743 2742 5101 5102

관련 정보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1600-7119 www.kotra.or.kr

대한상공회의소 (02)6050-3114 www.korcham.net

한국산업인력공단 1644-8000 www.hrdkorea.or.kr

한국자동차산업협회 (02)3660-1800 www.kama.or.kr

한국제약바이오협회 (02)6301-2101 www.kpma.or.kr

한국출판영업인협의회 (02)762-0599 www.kpmac.net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자격시험 홈페이지 1644-8000 www.q-ne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