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건설 > 단순노무종사원
단순노무종사원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다소감소

향후 10년간 단순노무종사원의 취업자 수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단순노무종사원(건설 및 광업, 하역 및 적재, 제조, 농림어업)는 2016년 1,046.2천 명에서 2026년 1,079.8천 명으로 향후 10 년간 약 33.5천 명(연평균 0.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노무 종사자의 고용은 전반적인 경기 상황에 영향을 받는다. 경제성장률(국내총생산 GDP의 증가율)이 2012년 2.3%로 낮아진 후 2018년까지 2~3% 사이를 오르내리고 있다. 2019년에는 민간소비 둔화, 설비투자 증가세 둔화, 건설투자 감소폭 확대 등으로 경제성장률이 2.6%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KDI 경제전망 2018. 하반기, 제35권 제2호). 향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에 대해 국내외 연구기관 및 신용평가사는 저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세계경제가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보호무역주의를 근간으로 한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 미국의 금리인상, 중국 등 신흥공업국의 경쟁력 강화 등 글로벌 경제 상황도 우리나라에 우호적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세부 직종별로 보면, 건설 단순종사원의 경우, 2019년부터 건축경기 하락이 본격 시작되고, SOC (도로, 공항, 철도, 상하수도 등의 사회간접자본) 예산도 앞으로 개발시기와 같은 규모로 책정 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어(‘2019년 건설경기 전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8.11.7.), 건설 분야의 단순종사원의 일자리 감소가 예상된다. 제조관련 단순 종사원의 경우, 제조업 중 큰 비중이 차지하는 조선, 자동차의 경기 전망이 밝지 않고, 글로벌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제조업 가동률이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중소기업 뉴스, ‘제조업 공장 가동률, 외환위기 후 최저’, 2018.11.21.). 제조업 경쟁력이 회복되지 않으면 제조업 단순종사원의 일자리 전망도 밝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농림어업 단순 종사원의 경우, 인건비나 사료비 등 생산비 상승으로 인한 수익률 악화, 농어업 근로자의 고령화와 청년층의 농촌 이탈 등으로 농림어업 자영업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농림어업 분야에 종사하는 단순종사원의 일자리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역 및 적재 단순 종사원의 경우, 홈쇼핑이나 인터넷쇼핑 시장의 성장으로 물류량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물류 분야에 종사하는 단순종사원의 일자리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과 같이 좋지 않은 경기 전망이 단순노무종사원의 일자리 전망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데, 앞으로는 기술발전에 따른 영향력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단순노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단순반복적인 직무의 특성상 기계화와 자동화에 따른 일자리 대체 가능성이 더 큰 편이다. 건설기계와 농업기계의 지능화와 무인화, 제조업 로봇, 포장로봇, 물품운반 및 적재로봇, 드론 등 각종 기계장비의 발전이 단순근로자의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다. 이러한 추세는 3D 업종에 대한 취업 기피와 중소기업의 인력난, 경제활동인구의 감소, 인건비 상승 등의 요인과 맞물려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저임금, 저숙련의 외국인 근로자와 경쟁해야 하는 점도 내국인의 취업자 수 감소로 이어질 것이다. 그 외에 공장의 해외이전, 인건비 인상 등도 단순노무종사원의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일자리 전망
전망요인 증가요인 감소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 근로자의 고령화
  • 저임금, 저숙련 외국인 근로자와의 경쟁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변화 청년층의 진입 기피
과학기술 발전 자동화, 기계화, 디지털화
국내외 경기 건설경기 하락
기업의 경영전략 변화 공장의 해외 이전
법,제도 및 정부정책 인건비 인상에 따른 구조조정

관련 직업

건설 및 광업 단순종사원, 농림어업관련 단순종사원, 하역 및 적재단순종사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6244 7060 8900 9050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9100 9210 9300 9910

관련 정보처

한국비정규노동센터 (02)312-7488 www.workingvoice.net

고용복지플러스센터 1350 workplus.go.kr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자격시험 홈페이지 1644-8000 www.q-ne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