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기계·재료 > 기계공학기술자
기계공학기술자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현 상태 유지

향후 10년간 기계공학기술자의 취업자 수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기계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2016년 약 108.6천 명에서 2026년 약 117.1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8.5천 명(연평균 0.8%)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2017)」에 따르면 기계산업 종사자 수는 2006년 82만1천여 명에서 2016년 110만3천여 명, 사업체 수는 2006년 4만8천여 개에서 2016년 7만7천여 개로 10년 동안 각각 약 1.3배, 1.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기계산업의 종사자 및 사업체 현황
연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사업체 수 48,595 49,610 46,473 46,626 50,242 54,673 59,064 62,879 70,296 76,347 77,383
종사자 수 821,284 852,307 841,973 837,985 895,208 961,400 996,299 1,042,854 1,092,426 1,115,186 1,103,412

자료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주 : 기 계산업에는 의료·정밀·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포함

또한 지난 10년간의 지속적인 종사자 수 및 사업체 증가 등 기계산업의 전반적인 증가에도 불구 하고 향후 기계공학기술자의 고용전망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계산업은 기본적 으로 모든 산업에 생산설비를 공급하며 그것이 생산제품의 품질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제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산업이자 뿌리산업에 해당한다. 상대적으로 인구구조와 노동인구 변화라는 요소를 감안하면 출산율 감소로 인해 대학입학자원이 점차 줄고 있다. 2018년부터 고교 졸업자 수가 대입정원보다 적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런 현상은 점차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대입정원의 감소는 경쟁력 없는 대학의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는 결국 대학 교원 등의 교육인력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각종 생산시설 자동화와 맞물려 이러한 자동화 시설을 개발하거나 운영/ 관리하기 위한 기계공학기술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로봇의 형태는 아니지만 자동화 설비도 로봇의 하나로 볼 수 있으며 자동화설비 컨설팅분야, 설계분야 관련 고용이 늘 수 있다. 기업의 전반적인 경영전략 변화로 인해 해외 공장 이전이 확대되고, 해외공장 이전으로 인한 고용이 감소할 수 있다. 기계공학기술자는 고급인력이므로 기업의 프로젝트 감소로 인한 고용불안 요소는 없을 것으로 보이며 연구개발 분야에서 꾸준히 고용될 것으로 보인다. 4차 산업혁명의 확장으로 협동로봇 등의 산업용 로봇 등이 크게 늘고 있으며 국내에도 이러한 로봇을 생산하는 업체가 3~4개 만들어졌다.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가 내연기관자동차를 대체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경우 기존 자동차 산업에 비해 기계적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이 줄 것으로 보여 기계공학자 고용에는 다소 불리할 수 있다. 기계 융복합 분야로 진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3D프린팅에서 프린터의 기구 개발, 적층기술 등은 기계공학기술자의 분야이므로 해당 인력의 일자리 창출은 긍정적이다. 마지막으로 환경과 에너지 분야를 고려할 때 친환경 에너지와 에너지 절감이 강화되면서 친환경 발전 등 탈원전 등으로 인해 신재생 발전 및 에너지 절감 기술이 늘수록 해당 인력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일자리 전망
전망요인 증가요인 감소요인
과학기술 발전 로봇, 스마트공장, 전기자동차 등 첨단기술 발전 및 사업화 진전
국내외 경기 전통적 제조업의 침체
기업의 경영전략 변화 지속가능 경영 해외공장 이전으로 인한 인력 유출
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4차산업 혁명으로 인한 기술 발전 전통적인 자동차 산업 등의 기계 설비 축소
환경과 에너지 환경 및 에너지 설비 증가
기타 기계설비 분야 대외 경쟁력 약화로 기계수출 감소 등

관련 직업

기계공학기술자, 조선공학기술자, 자동차공학기술자, 항공공학기술자, 메카트로닉스공학기술자, 건설기계공학기술자, 엔진기계공학기술자, 냉난방 및 공조공학기술자, 사무용기계공학기술자, 철도차량공학기술자, 로봇공학기술자, 지열시스템연구 및 개발자, 플랜트기계공학기술자, 기계공학시험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151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2351

관련 정보처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02)2052-9300 www.kocema.org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02)565-2721 www.komma.org

한국기계산업진흥회 (02)369-8600 www.koami.or.kr

(사)한국자동차기술인협회 (02)778-8123 www.kaat.org

국자동차산업협회 (02)3660-1800 www.kama.or.kr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02)2112-8181 www.koshipa.or.kr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02)761-1101 www.aerospace.or.kr

한국산업인력공단 (02)1644-8000 www.hrdkorea.or.kr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자격시험 홈페이지 1644-8000 www.q-net.or.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민간자격 정보서비스 (044)415-3730 www.pq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