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기계·재료 > 제조·생산조립원
제조·생산조립원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다소증가

향후 10년간 제조·생산조립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제조·생산조립원은 2016년 약 300.7천 명에서 2026년 약 339.4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38.7천 명(연평균 1.2%) 정도 증가할 것으로 보여 다소 증가하는 상태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세부직업별로 보면 먼저 기계조립원은 연평균 0.5% 정도 미미하게 증가하여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데 세부적으로 일반기계, 금속기계부품, 전기·전자 부품 등 대부분이 1% 정도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의 제조업 조사에서도 제조·생산조립원과 관련 있는 3개 세부 업종의 사업체수도 지속적 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제조·생산조립원과 관련된 3개 제조업의 사업체 현황
연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3,305 33,413 31,287 31,007 32,795 35,050 37,359 39,60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556 6,639 6,054 6,112 7,022 7,909 8,449 9,307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996 2,275 2,272 2,417 2,580 2,960 3,121 3,498

단위:개소,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

제조·생산조립원의 경우 낮은 임금 및 고된 일자리로 인하여 젊은 층의 신규 구직자가 없어 현재 근로자는 대부분 중장년층이며 이들을 대체하여 외국인 근로자가 늘고 있어 향후 제조·생산조 립원의 고용에 부정적인 요소가 있다. 또한 공장 자동화가 진행되어 많은 생산라인이 생산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해 자동화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일부 공장의 경우 로봇설비를 설치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공장 자동화 설비는 인력투입을 줄여 추후 일자리 창출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등 제조공장의 해외이전, 숙련공 등 경력직 중심의 채용문화, 탄소배출권 등 제조 분야에 대한 규제, 직업에 대한 낮은 선호도 등은 부품 조립원 고용을 저해하는 요소들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중국의 대량생산 및 저가 완성품의 증가, 조립 등 단순분야에서의 외국인력의 유입으로 인해 임금이 저렴한 외국인의 채용이 늘고 있어 내국인 일자리는 감소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제조용 로봇생산으로 대체되는 추세도 해당 인력감소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증가요인으로는 단순조립이 아니라 스마트팩토리화되면서 제어 및 SW인력이 추가로 고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립원의 역할이 단순 조립 뿐 아니라 자동화 설비 제어 역할로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스마트공장화하면서 해외로 이전된 공장들이 국내로의 리턴(리쇼어링)현상이 일어나 고용창출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일자리 전망
전망요인 증가요인 감소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청년층 진입 기피
과학기술 발전 스마트공장 확대로 제어 인력 등의 추가 고용
국내외 경기 제조업 지속 성장
기업의 경영전략 변화 자동화로 인한 해외 공장의 국내 복귀(리쇼어링)
법, 제도 및 정부 정책 제조업 육성 및 지원 정책 확대

관련 직업

자동차부분품조립원, 가구부품조립원,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조립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8524 8173 8161 8162 8360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8324 8543 8544 8550 8640

관련 정보처

한국기계산업진흥회 (02)369-8600 www.koami.or.kr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02)2052-9300 www.kocema.org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02)565-2721 www.komma.org

한국산업인력공단 1644-8000 www.hrdkorea.or.kr

한국폴리텍대학 (032)650-6780 www.kopo.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