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음식서비스 및 식품가공 >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다소증가

향후 10년간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은 2016년 약 7.0천 명에서 2026년 약 8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0.9천 명(연평균 1.2%)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2016~2026 고용전망
구분 취업자 수 기간 증감 증감률
2011 2016 2021 2026 11~16 16~21 21~26 16~26 11~16 16~21 21~26 16~26
식품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7 7 7 8 0.2 0.4 0.4 0.9 0.5 1.3 1.1 1.2

단위:천 명, %,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2017),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식품 업체 수는 2007년 22,525개에서 2017년 26,249개로 3,724개(16.5%) 증가하였고, 품목 수는 2007년 30,524개에서 2017년 68,086개로 37,562개(123.1%)로 급증하였다. 판매액은 2007년 308,770억 원에서 2016년 480,520억 원으로 171,750억 원(55.6%) 증가하였고, 수출액도 2007년 147,000만 달러에서 2016년 374,100만 달러로 227,100만 달러(154.5%) 증가하였다. 또한, 건강 기능식품 업체수도 2008년 356개에서 2016년 487개로 131개(36.8%) 증가하였고, 품목 수는 2008년 9,189개에서 2016년 20,699개로 무려 11,510개(125.3%)가 증가하였다. 식품첨가물 업체 수는 2007년 515개에서 2016년 811개로 296개(57.5%) 증가하였고, 품목은 2007년 1,225개에서 2017년 2,145개로 920개(75.1%) 증가하였다(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및 식품첨가물생산실적). 이상과 같이 식품 관업 업체수와 품목수가 많이 증가한 것을 보면 식품공학기술자에 대한 인력 수요도 증가하였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는 경제성장과 함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인구가 계속 증가하여 식품소비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근래에는 고령화, 1인가구 증가, 맞벌이가정 증가 등 인구구조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기능성식품이나 간편조리식품(냉동식품, 즉석조리식품 등), 도시락 등 사람들의 수요에 맞춰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관련 산업도 급성장을 하고 있다. 건강과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정부 차원에서 식품안전성검사를 강화하고 있어 식품 안전성을 검사하고 유해성분을 분석할 인력에 대한 수요도 커지고 있다. 기업도 자사 식품에서 유해성분이 검출되거나 유통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기업 이미지에 심각한 손상을 입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식품안전을 검사하기 위한 부서를 두고 인력을 충원하고 있다. 또한 김치나 장류, 인삼, 전통주 등 전통식품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 정책이 추진되고 있고, 민간기업 부문에서도 해외 수출을 위해 현지인의 입맛에 맞는 식품을 개발하거나 할랄식품(무슬림 전용 식품) 수출을 위한 인증 및 생산관리를 담당할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식품산업은 미래 성장산업으로서 식품가공, 저장, 포장, 유통 분야 등에 첨단기술을 적용하는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국내 경기부진과 가계부채 증가, 가계소득 상승률 저하 그리고 조선·해운업을 중심으로 한 기업 구조조정의 본격화 등으로 내수부진이 우려되기 때문에 식품소비 증가도 이전과 같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일자리 전망
전망요인 증가요인 감소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고령자 맞춤형 식품수요 증가 고령화와 저출생으로 인해 식품 산업 규모 축소
국내외 경기 변화
  • 식품산업 규모 정체로 베트남 등 신흥국에 자사 및 공장 설립
  • 한류열풍으로 해외에서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 증가
법,제도 및 정부정책 HACCP 의무화 확대와 국가식품 클러스터 육성

관련 직업

식품공학기술자, 식품학연구원, 음식료품화학공학기술자, 식품시험원, 영양사, 음식료품감정사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157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2391

관련 정보처

한국식품연구원 (063)219-9114 www.kfri.re.kr

식품의약품안전처 1577-1255 www.mfds.go.kr

한국식품산업협회 (02)3470-8100 www.kfia.or.kr

(사)한국식품기술사협회 (02)3473-7171 foodp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