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음식서비스 및 식품가공 > 식품가공기능종사자
식품가공기능종사자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현 상태 유지

향후 10년간 식품가공 관련 기능종사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정육원 및 도축원은 2016년 약 33.0천 명에서 2026년 약 37.0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3.5천 명(연평균 1.0%) 정도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김치 및 밑반찬제조종사원은 2016년 약 15.0천 명에서 2026년 약 16.0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1.7천 명(연평균 1.1%) 정도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식품가공 관련 기능종사자 2016~2026 고용전망
구분 취업자 수 기간 증감 증감률
2011 2016 2021 2026 11~16 16~21 21~26 16~26 11~16 16~21 21~26 16~26
떡 제조원 26 38 40 41 11.4 2.2 1.2 3.4 7.5 1.1 0.6 0.9
정육원 및 도축원 19 33 36 37 14.9 2.1 1.4 3.5 12.5 1.2 0.8 1.0
김치 및 밑반찬제조 종사원 15 15 16 16 -0.8 1.4 0.3 1.7 -1 1.8 0.4 1.1

단위:천 명, %,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2017),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에 의하면, 도축·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의 사업체 수는 2016년 2,384개로 전년 대비 6.3%(141개) 증가하고, 종사자 수는 2016년 44,898명으로 전년 대비 4.7% (2,004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의 사업체 수는 2016년 1,017개로 전년 대비 3.4%(33개) 증가하고, 종사자 수는 2016년 5,750명으로 전년 대비 0.8%(47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의 사업체 수는 2016년 17,456개로 전년 대비 1.8%(327개) 감소하고, 종사자 수는 2016년 58,827명으로 전년 대비 1.6%(951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연도별 육류, 수산물, 과실 가공 및 저장처리업의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도축·육류가공 및 저장 처리업 사업체수 1,662 1,836 2,055 2,243 2,384
종사자수 37,922 39,636 41,773 42,894 44,898
수산물 가공 및 저장 처리업 사업체수 762 807 943 984 1,017
종사자수 4,754 5,045 5,109 5,703 5,750
과실, 채소 가공 및 저장 처리업 사업체수 13,790 15,263 17,434 17,783 17,456
종사자수 42,604 50,416 57,401 59,778 58,827

단위:개소,명, 자료 : 통계청(각 년도), 전국사업체조사

도축·육류 가공, 수산물 가공, 과실·채소 가공 등 관련 업체와 종사자는 증가했다. 이는 경제성장과 함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편리성을 추구하는 식문화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유기가공식품이나 건강기능식품, 김치 등 절임제품, 장류제품, 전통발효식품과 같은 웰빙전통 식품 등에 대한 개발이 적극 이루어지고 있고 수요도 증가하여 관련 일자리가 증가하였다. 그런데 식품업체들이 경쟁력 제고와 인건비 절감을 위해 생산설비를 자동화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식품 판매액 증가가 곧바로 식품가공 일자리 증가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또한 국내 경기부진과 가계부채 증가, 가계소득 상승률 저하 그리고 조선·해운업을 중심으로 한 기업 구조조정의 본격화 등으로 내수부진이 우려되기 때문에 식품소비 증가도 이전과 같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식품가공 관련 근로자의 고령화가 심각하고 근로조건이 열악하여 청년층이 입직을 기피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근로자의 취업자 수는 감소하고, 빈 일자리의 상당수는 외국인 근로자로 채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일자리 전망
전망요인 증가요인 감소요인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고령화 및 1인가구 증가에 따른 맞춤형 소포장 시장 확대 저출산에 따른 유아용 식품 수요 감소 증대
과학기술 발전 식품산업은 장치산업이어서 자동화 진전에 따른 인력수요 감소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인건비 상승에 따른 해외 생산 시설 이전
법, 제도 및 정부 정책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식품 시장 개방과 완제품 수입 증가

관련 직업

정육원 및 도축원, 김치 및 밑반찬 제조종사원, 식품 및 담배등급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8721 8722 8723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7103 7104 7105

관련 정보처

한국식품산업협회 (02)3470-8100 www.kfia.or.kr

(사)한국유가공협회 (02)584-3631 www.koreadia.or.kr

(사)대한민국김치협회 (02)6300-8777 www.kimchikorea.org

(사)한국축산물처리협회 (031)391-9766 www.cleanmea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