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화학·섬유·환경 및 공예 > 환경관련 장치조작원
환경관련 장치조작원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다소증가

향후 10년간 환경 관련 장치조작원의 취업자 수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환경 관련 장치조작원은 2016년 24.6천 명에서 2026년 29.5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5.7천 명(연평균 1.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범세계적 환경규제 강화와 환경의식의 급신장으로 환경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환경 산업은 전형적인 선진국형 산업으로 선진국으로 갈수록 발전하는 산업이다. 국민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삶의 질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수질 등 생활환경 및 환경보전에 대한 욕구가 상승하고 경제발전에 따라 폐기물의 증가, 수질 오염 악화가 증가한다. 이에 정부에서는 환경규제를 강화할 것으로 보여 환경산업 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환경 관련 장치조작원이 주로 활동하는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의 사업체와 종사자 수는 매년 소폭 증가하고 있으나 「하수, 폐수 및 분뇨처리업」 은 큰 변화가 없었다.

상세내용 하단 참고
하수·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사업체수 5,402 5,909 6,526 6,965 7,761 7,932 7,945
종사자수 69,132 70,871 73,086 77,910 82,216 84,336 85,391

단위:개소,명, 자료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상세내용 하단참고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사업체수 1,294 1,356 1,486 1,515 1,650 1,709 1,714
종사자수 14,351 14,333 15,239 15,427 15,811 16,852 16,853

단위:개소,명, 자료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상세내용 하단참고
폐기물 수집운반, 처리 및 원료재생업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사업체수 4,042 4,469 4,955 5,359 6,004 6,119 6,130
종사자수 53,861 55,551 56,852 61,455 65,342 66,397 67,316

단위:개소,명, 자료 :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환경규제 강화, 환경 및 안전에 강한 의식변화, 그리고 정부의 물산업 육성, 폐기물 재활용 강화 등과 맞물려 환경 관련 장치조작원의 고용은 긍정적이다. 기후변화 및 환경변화로 수질상태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어 이에 따른 시설과 장비가 추가적 으로 소요되고 있다. 또한 정부는 향후 2030년까지 매출 50조 원, 20만 명 규모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물산업을 집중육성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정수처리시설의 고도화 추진, 수도 산업 관련 특허기업과 인재양성, 해외지원 사업 및 해외 진출 확대가 예상된다. 한편, 재활용처리 및 소각로처리장치조작원의 일자리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활폐기물은 종량제 시행, 재활용품 및 음식물 폐기물 분리정책에 따라 소폭 증감하고 있으나 사업장 폐기물은 산업성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간 폐기물은 매립보다는 소각 및 재활용으로 처리 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 정부는 폐기물 감량화 정책과 함께 자원의 순환이용을 고려하는 재활용 체계를 확립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기업에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인 재활용계획을 수립하도록 함), 지역여건에 적합한 재활용 기반시설 확충, 관련 기술개발 및 재활용 소비촉진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2018년 1월 1일부터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폐기물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발생된 폐기물의 순환이용 및 적정한 처분을 촉진하여 천연자원과 에너 지의 소비를 줄임으로써 환경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사회로 전환하기 위하여 「자원순 환기본법」을 시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30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을 50% 줄이고 재활용을 70%까지 올릴 예정이다. 특히 재활용품을 산업 원료로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집·가공하는 재활용업체의 발전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정부에서는 각종 세제혜택과 금융지원, 창업지원 및 기술지도 등의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그러나 설비자동화 및 스마트화 등은 고용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상하도 처리 시설은 장치산업으로 그간 기술발전으로 자동화와 무인화가 크게 이루어졌으나 향후에도 가속화될 예정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8조 7,000억 원을 들여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상하수도 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수도관 누수를 최소화하기로 하는 등 관련 시설의 스마트화를 추진할 계획 이다. 한편 환경분야는 중소업체가 대부분이고 정부 예산을 통해 업무를 수행하는 업체가 많아 큰 규모의 일자리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이며 소각로, 폐수, 하수처리 등의 업무에 청년층이 진입을 꺼려 입직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2016기준 「환경산업통계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사업체당 종사자는 7.6명이고 환경부문의 경우 5~49인이 50.4%, 1~4인 업체는 12.5%로 영세한 수준이다. 한편 폐기물, 오폐수, 수도 분야는 종사자 규모 5~49인 업체가 가장 많으며 오폐수와 수도관련 분야의 경우 300인 이상 사업체 수도 다른 매체에 비해 가장 많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일자리 전망
전망요인 증가요인 감소요인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변화 수질, 폐기물 등 환경에 대한 국민 관심 증가
과학기술 발전 정수시설 및 소각처리 설비 등의 자동화 및 디지털화 지속
법,제도 및 정부정책 정부의 환경보호 정책 및 규제 강화 지속

관련 직업

상하수도처리장치조작원, 재활용처리 및 소각로조작원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8531 8532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8810 8820

관련 정보처

한국엔지니어링협회 (02)3019-3200 www.kenca.or.kr

한국환경공단 (032)590-4000 www.keco.or.kr

국립환경과학원 (032)560-7114 www.nier.go.kr

서울환경기술인협의회 (02)852-5930 www.skemf.or.kr

(사)한국환경기술인협회 (02)852-2291 www.kee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