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한국직업전망

직업·진로 직업정보 한국직업전망
분류별 검색 > 화학·섬유·환경 및 공예 > 공예원
공예원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감소:-2% 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현 상태 유지:-1%초과 +1% 미만, 다소증가 1% 이상 2% 이하, 증가:2% 초과 중 현 상태 유지

향후 10년간 공예원의 취업자 수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17)에 따르면, 공예원은 2016년 17.6천 명 에서 2026년 17.6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거의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공예산업은 제조업, 명품산업, 관광, 디자인, 농업 등 연관된 산업분야가 다양하고 유관분야와 연계를 통해 고부가가치의 잠재력이 높은 산업이다.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생활이 윤택해질수록 공예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정부에서는 공예산업을 미래 성장동력 산업으로 주목하면서 지역공예마을육성, 공예트렌드페어, 해외한국공예전, 한지프로모션 등 지역의 공예 육성과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각종 지원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부에서는 2015년 「공예문화산업진흥법」을 제정하여 공예문화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의 지정 기준과 국제 교류 및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지원, 우수공예품의 지정 및 지원 방안 등을 마련 하여 공예문화 산업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과 육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기술발전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고, 저가 공예품의 국내유입 확산, 가격경쟁력 약화로 인한 국내 공예제품의 수출 감소 등은 향후 공예원의 일자리에 부정적이다. 단, 경력단절여성과 중장년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따른 취업자 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1인 등 소수 창업이 대부분이서 향후 10년 동안 종사자 수는 크게 변동이 없을 것이다. 2016년 공예산업 실태조사(2015년 조사)에 따르면 공예사업체 대부분은 개인사업체(97.1%)로 평균 종사자 수는 1.8명으로 대부분 1~2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내용 하단참고
공예사업체 종사자 수 비율
사업체종사자수 1인 2인 3~4인 5인 이상
비율 49.4 37.9 9.4 3.3

단위:%, 자료 : 2016년 공예산업 실태조사.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상세내용 하단참고
일자리 전망
전망요인 증가요인 감소요인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변화 액세서리 등 청소년 선호 공예품 수요 발생 전통공예 수요 지속적 감소
산업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소자본 창업이 가능하여 1인 자영업자 증가 채산성 약화 등 공예품의 경쟁력 약화 지속
법, 제도 및 정부정책 한지 등 전통공예 정부정책 지원 지속

관련 직업

공예원, 한지공예가, 점토공예가

분류 코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 884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 7911

관련 정보처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02)398-7900 www.kcdf.kr

(사)한국공예가협회 (02)324-5357 www.craftkorea.org

한국공예협동조합연합회 (02)2698-0003

(사)한국수공예협회 (02)2273-9647 www.handicraft.co.kr

(사)한국전통공예산업진흥협회 (043)213-1101 www.tcakorea.org

(사)한국공예예술가협회 (02)779-0886 cafe.daum.net/kcaa5757

(사)한국종이접기협회 (02)2264-4561 www.origami.or.kr

(사)전통한지공예가협회 (02)394-6533 www.hanjiar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