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건설·채굴직 > 건설구조 기능원 > 전통건축기능원
전통건축기능원

임금

전통건축기능원 하위(25%) 3,968만원, 중위값 4,662만원, 상위(25%) 5,500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전통건축기능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6.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전통건물건축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식목공을 비롯한 전통건물건축원의 고용은 문화재 예산과 전통건축 수요에 영향을 받는다. 문화재수리기술자는 2016년 1,794명으로 2013년 1,602명보다 약 190명이 증가하였고 2004년 920명에 비해서는 약 2배 증가하였다. 문화재수리기능자는 2016년 8,157명으로 2013년 6,988명보다 약 1,170명 증가하였고 2004년 3,557명에 비해서는 약 2.3배 증가하였다(문화재청, ‘문화재수리기술자·기능자 현황’, 2016.06.). 문화재관리 예산은 2016년 7,311억 원으로 2014년 6,199억원에 비해 1,100억원 증액되었고, 2004년 3,609억 원에 비해서는 약 2배 증가하였다. 지정·등록문화재 건수도 매년 증가하여 2008년 10,375건에서 2016년 6월 현재 13,275건으로 증가하였다(문화재청, 「주요업무 통계자료집」). 최근에는 일반인 중에서도 전통건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한식으로 주택을 건축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향후 문화재 예산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전통건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전통건물건축원의 고용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분포
감소 다소 감소 유지 다소 증가 증가
10% 23% 27% 40% 0%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일자리현황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이주현, 이혜나(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