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설치·정비·생산직 > 전기·전자 부품·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 전자부품·제품생산기계조작원
전자부품·제품생산기계조작원

임금

전자부품·제품생산기계조작원 하위(25%) 3,000만원, 중위값 3,358만원, 상위(25%) 4,000만원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전자부품·제품생산기계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6%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전자부품 및 제품제조기계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몇 년간 생산시설의 로봇자동화와 대형화로 생산인력이 많이 줄어들었다. 더욱이 근래에는 기계설비 및 장비가 자동으로 고장을 알리고 그 부위까지 표시할 정도로 기술 발전을 이룸으로써 전자부품 및 제품제조기계조작원의 업무량이 더욱 줄어들었다. 또한 인건비 절감과 판매시장 확보를 위해 생산시설을 중국 등 해외로 이전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중국이나 동남아 국가의 저가 수입품이 들어옴으로써 국내 노동인력의 감축은 더욱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현상은 중소업체 혹은 저기술 전자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체에 주로 해당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반면, LCD TV나 LED TV, HDTV, 반도체, 핸드폰 등의 첨단전자제품을 생산하는 경쟁력 있는 기업체의 경우는 다소 일자리가 늘어날 수도 있다. 이들 제품은 세계적인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전략산업으로서, 해당 기업체는 물론이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정책적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는 분야이다. 따라서 생산시설의 증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이고 더불어 일자리도 다소 늘어날 것이다. 생산자동화와 공장 해외이전, 저기술 제품의 수입으로 일자리가 줄어드는 반면에 첨단기술 제품관련 일자리는 늘어날 것이므로 결국은 전자부품 및 제품제조기계조작원의 전체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나 다소 감소하는 정도가 될 것이다. 한편, 청년층들이 단순한 제품조립 및 기계조작 직무인 이 분야의 취업을 기피하고 그 자리를 저임금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차지하면서, 이 분야로 취업하고자 하는 국내 구직자들은 오히려 취업이 어려워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취업희망자는 전기 및 기계에 관련하여 자격증을 취득하고 현장 경력을 쌓을 필요가 있다.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분포
감소 다소 감소 유지 다소 증가 증가
3% 35% 32% 29% 0%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일자리현황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이주현, 이혜나(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