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직업정보 찾기

직업·진로 직업정보 직업정보 찾기
설치·정비·생산직 > 비금속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
[직업정보 요약] 1.하는 일, 2.교육/자격/훈련, 3.임금/직업만족도/전망, 4.능력/지식/환경, 5.성격/흥미/가치관, 6.일자리 현황, 7.관련직업
하는 일 점토를 사용해서 도기, 자기, 벽돌, 블록, 판석, 기와, 타일, 파이프, 도관 및 배관연결구류 등을 제조하는 기기를 조작한다.
교육/자격/훈련 관련학과 관련자격 훈련정보
  • 정확히 일치되는 학과정보가 없습니다.
    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임금/직업만족도/전망 임금 직업만족도 전망
  • 하위(25%) 2,800만원
  • 중위값 3,300만원
  • 상위(25%) 4,000만원
  • 55.9%
  • 감소 (40%)
  • 현상유지 (60%)
  • 증가 (0%)
능력/지식/환경 업무수행능력 지식 환경
  • 장비의 유지(92)
  • 정교한 동작(91)
  • 신체적 강인성(89)
  • 작동 점검(89)
  • 움직임 통제(89)
    상품 제조 및 공정(100)
    디자인(94)
    기계(89)
    물리(85)
    예술(79)
    온몸 진동 노출(93)
    위험한 상태 노출(93)
    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93)
    움직이는 기계(92)
    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91)
성격/흥미/가치관 성격 흥미 가치관
    성취/노력(69)
    책임과 진취성(60)
    독립성(57)
    혁신(56)
    리더십(53)
    예술형(Artistic)(93)
    탐구형(Investigative)(86)
    고용안정(61)
    개인지향(59)
    성취(54)
    자율(36)
    인정(33)
업무활동 중요도 수준
기계장비 유지 보수(90)
물건 조종, 운반(85)
일반적인 신체활동(82)
기계장치 제어(80)
차량, 기계, 장비 작동(78)
기계장비 유지 보수(91)
물건 조종, 운반(89)
차량, 기계, 장비 작동(84)
기계장치 제어(82)
일반적인 신체활동(82)
일자리 현황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
관련직업

필요기술 및 지식

일반적으로 특별한 학력이나 자격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공업계 고등학교나 전문대학에서 관련분야를 전공하면 업무수행에 도움이 된다. 점토제품생산기조작원은 보통 공업계 고등학교나 전문대학 등에서 재료, 요업 등과 관련하여 교육을 받고 업체에 취업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숙련공의 보조원으로 취업한 후에 경력과 기능을 쌓아 전문가로 성장하는 방법이 있다. 요즘은 자동제어 등을 위하여 컴퓨터 조작 등에 익숙하여야하므로 전문대 등에서 이를 포함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면 취업에 유리하다. 주로 도자기제조나 요업제품 제조업체에서 근무한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점토제품생산기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통계청의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현황을 보면, 종사자 수가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비금속광물가공 및 제품제조 관련 생산시설의 자동화와 대형화로 노동집약적인 단순기능직에 대한 인력 감축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최근 정부의 부동산규제정책과 더불어 전반적인 건설경기 침체로 유리, 타일, 위생도기, 시멘트, 벽돌, 콘크리트 등 건축 관련 비금속광물가공제품에 대한 수요가 대폭 줄어들어 점토제품생산기조작원의 수요가 급감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에도 인력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조사년도: 2021년 >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감소 다소 감소 유지 다소 증가 증가
7% 33% 60% 0% 0%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점토제품생산기계조작원’ 더 알아보기

  • 한국직업전망

    비금속광물가공장치조작원

    비금속광물가공장치조작원은 분쇄기, 연마기, 건조기, 배합기, 소성로, 용해로, 성형기, 서냉로, 절단기 등 각종 기기와 설비를 조작하며, 제어장치, 통제시스템 등을 통해 비금속광물 제련 및 정련과정을 조정하고 제어한다. 생산된 가공품을 검사하고 확인하기도 한다. 제조 품목에 따라 유리 및 유리제품 가공장치조작원, 도자기·타일 및 위생도기제품 제조장치조작원, 시멘트 석회 및 콘크리트 제조장치조작원, 석제품 제조장치조작원으로 나눌 수 있다. 유리 및 유리제품 가공장치조작원은 유리와...

  • 테마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대상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이색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신직업별 찾기

    해당 직업 정보가 없습니다.

  • 동영상

    해당 직업 정보 동영상이 없습니다.

담당부서 : 미래직업연구팀
담당자 : 이주현, 이혜나(1577-7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