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임금
※ 위 임금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직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통계치입니다.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직업간 비교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년도: 2021년>
직업만족도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조사년도: 2021년>
재직자가 생각하는 일자리전망
※ 위의 그래프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가 해당 직업의 향후 5년간 일자리 변화에 대해 응답한 결과입니다. 직업전문가와 재직자들의 입장과 견해에 따라 일자리 전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연평균 증감률 %)
향후 10년간 IT기술지원전문가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IT기술지원전문가는 IT시스템 사용 고객의 요청에 따른 장애 처리, 시스템 개선 및 정기 점검, 유지보수 업무 등의 기술적 지원 업무를 한다.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e-비즈니스의 확대, 무선통신 이용자의 확대, 디지털 미디어의 활성화, 각종 기자재의 자동화?디지털화, 사물인터넷(IoT) 등을 통한 시스템 간 연결망 확대, 디지털 융합 산업의 확산 등으로 IT 정보시스템의 규모가 급격히 커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정보시스템의 고장이나 장애는 기업과 소비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IT 기술이 발전할수록 IT기술지원전문가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도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해 고객에 대한 기술지원 강화에 노력하는 추세이다. 반면에 컴퓨터 시스템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있고, 자체 정비 시스템의 발전과 챗봇 등 지원시스템 강화로 업무 효율이 향상되고 있다. 데이터 저장, 네트워킹, 콘텐츠 서비스 등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수행하는 등 기술 발전으로 전문인력에 대한 필요성이 감소하는 경향도 있다. 또 큰 규모의 기업이나 기관에서는 자체 IT기술지원 인력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있지만, 그렇지 않고 별도의 통합 데이터센터를 통해 시스템을 유지?보수하거나 시스템통합(SI) 업체에 외부용역을 주거나 또는 관련 업체로부터 인력 파견을 받는 등으로 고용 방식을 바꾸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IT기술지원전문가의 일자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안정성 개선, 자체 정비 시스템의 발전과 챗봇 등 지원시스템 강화에 따른 업무 효율 향상,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 도입 및 활용 확대에 따른 전문인력 수요 감소 등의 부정적인 요인이 있지만, IT 기술에 의존한 시스템과 서비스의 확대, 기업의 정보시스템 품질관리 인식 증대 등의 영향으로 향후 IT기술지원전문가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작성)
전망 요인 | 증가 요인 | 감소 요인 |
---|---|---|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의 변화 | - | - |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
- |
과학기술의 발전 | - |
|
국내외 경기 변화 | - | - |
기업 등의 경영전략 변화 |
|
|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의 변화 |
|
- |
환경과 에너지, 자원 | - | - |
법·제도 및 정부 정책 | - | - |
기타 요인 | - | - |
※ 위의 일자리전망은 직업전문가들이 「중장기인력수급전망」,「정성적 직업전망조사」,「KNOW 재직자조사」등 각종 연구와 조사를 기초로 작성하였습니다.
일자리현황